earticle

논문검색

Exploration of the theoretical analysis framework for analyzing the practical experience of pre-prim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 Focusing on cultural learning discourses

원문정보

예비초등교사들의 실습경험 분석을 위한 이론적 분석틀 탐구 : 문화적 학습 담론을 중심으로

Yi, Yu-Ree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discourse study on what kind of learning pre-prim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culturally acquire through practical experience. Cultural learning is a German educator, Ch. Based on Wolf's theoretical discussion, the culture in which humans live their lives is structured into five key mechanisms: physicality, performance, mimesis, rituals, and images, assuming that various perceptions and learning are revealed empirically.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cultural learning discourse can provide a framework for analyzing this learning culture as the practical experience of pre-prim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n extend directly to the field and to the competency. Therefore, it theoretically discussed what mechanisms the practical experience in the curriculum can be interpreted. Pre-service teachers grow through traditional and ritual hands-on experiences before being given the title of a teacher. Therefore, their cultural learning process can lead to a change in enhancing teacher competency required in social and educational aspects in the future, beyond simply reveal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curriculum.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cultural interpretation of their learning culture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re-examining the cornerstone of elementary education.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cultural learning can be provided from a new perspective to examine the various learning cultures of pre-prim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한국어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들이 실습경험을 통해 어떠한 학습을 문화적으로 습득하는지에 대한 담론연구이다. 문화적 학습은 독일의 교육학자 Ch. Wulf의 이론적 논의를 중심으로 인간이 삶을 살아가는 문화는 다양한 인지와 학습들이 경험적으로 드러나면서 이루어진다 는 것을 전제하면서 문화적 학습의 핵심기제는 신체성, 연행성, 미메시스, 의례, 이미지 다 섯 가지로 체계화된다. 이에 예비초등교사들의 실습경험은 현장으로 직결되는 학습문화이 자 역량으로까지 확장될 수 있는 과정으로 문화적 학습 담론은 이러한 학습문화를 분석하 는데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이에 교육과정 내 실습경험이 어떠한 기제들 로 해석될 수 있는지를 이론적으로 논의한 것이다. 예비교사들은 교사라는 호칭을 부여 받 기 전 통과의례적인 실습경험을 통해 성장한다. 때문에 이들의 문화적 학습과정은 단순히 교육과정의 장·단점을 드러내는 것을 벗어나 미래적으로 사회, 교육적 측면에서 요구되는 교사역량에 대한 제고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들의 학습문화를 문화적 으로 해석하는 것은 초등교육에 대한 초석을 다시금 재조명할 수 있는데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여겨진다. 나아가 문화적 학습이 예비초등교사들의 다양한 학습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새로운 관점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요 약>
Ⅰ. 들어가며
Ⅱ. 학교와 문화적 학습
1. 학교 공간
2. 문화적 학습
Ⅲ. 예비초등교사들의 문화적 학습
1. 신체성 & 의례: 통과의례적인 교육실습에서 교사로 성장하기
2. 연행성 & 이미지: 수업시연을 시작으로 다듬어지기
3. 미메시스 : 교사로서의 정체성 찾기 과정에서 성찰하기
Ⅳ. 나가며
참고문헌

저자정보

  • Yi, Yu-Ree 이유리.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