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코로나 19 위험인식이 온라인 정보행동과 사회불신에 미치는 영향 : 가짜뉴스 신뢰와 내집단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Effect of Risk Perception of COVID-19 on Online Information Seeking and Social Distrust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Fake News Trust and In-Group Trust

정재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effect of information seeking related to in-group trust and fake news trust in the social risk perception and social distrust. For verification, a model is established with social risk percep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social distrust as a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eeking as a parameter, and in-group trust and fake news trust as moderating variables. Metho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600 adults over the age of 18 in the country. The mediation effect of online information seeking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fake news trust and in-group trust were analyzed regarding the effect if risk perception on social distrust, with the use of PROCESS MACRO. Result The risk perception shows the mediation effect of online information seeking in the effect on social distrust. The risk perception also has a regulation effect of fake news trust and in-group trust in the effect on social distrust through online information seeking. In the group with high degree of fake news trust and in-group trust, risk perception has an effect on social distrust through online information seeking. In the group with low degree of fake news trust and in-group trust, the mediation effect of information seeking is not significant. This indicate that risk perception has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fake news trust and in-group trust in the effect on social distrust through online information seeking. Discussion and Conclusion Online information seeking can be considered as a process to judge the seriousness of social problem. However,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trust in fake news and reference group that an individual belongs to is likely to be connected to information seeking of unexpected direction in public rel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conduct extended research on the process of information seeking in that biased information seeking can cause abnormal social awareness.

한국어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위험인식과 사회에 대한 불신에서 온라인 정보행동, 가짜뉴스 신뢰 및 내집단 신뢰의 영향을 분석하고 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이에 위험인식을 독립변수, 사회불신을 종속변수, 온라인 정보행동을 매개변수, 내집단 신뢰와 가짜뉴스 신뢰를 조절변수로 하는 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전국 18세 이상 성인 남녀 6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도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PROCESS MACRO를 이용 하여 위험인식이 사회불신에 미치는 영향에서 온라인 정보행동의 매개효과와 가짜뉴스 신뢰와 내집단 신뢰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위험인식이 사회불신에 미치는 영향에서 온라인 정보행동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위험인식이 온라인 정보 행동을 통해 사회불신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짜뉴스 신뢰와 내집단 신뢰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가짜뉴스 신뢰와 내집단 신뢰가 높은 집단에서 위험인식이 온라인 정보행동을 통해 사회불신에 영향을 미쳤으며 가짜뉴스 신뢰와 내집단 신뢰가 낮은 집단에서는 정보행동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위험인식이 온라인 정보행동을 통해 사회불신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짜뉴스 신뢰와 내집단신뢰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논의 및 결론 온라인 정보행동은 사회적 문제의 심각성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한 과정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자신이 참여한 준거집단이나 가짜뉴스에 대한 신뢰는 공중관계에서 기대하지 못하는 방향의 정보행동으 로 연결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편향적인 정보행위가 비정상적 사회인식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보행위 과정에 대한 이해와 확장된 연구가 요구된다.

목차

요약
서론
이론적 배경
위험인식, 사회신뢰와 불신
온라인 정보행동
가짜뉴스 신뢰와 내집단 신뢰
연구방법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측정변수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정재선 Jae-Seon Jeong. Debiasing and Lay Informatics (DaLI) Lab, University of Oklahoma 책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