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가정의 감각환경에 기반한 학령전기 아동의 감각처리반응 평가 도구 개발

원문정보

Development of a Sensory Processing Evaluation Tool for Preschool Children Based on Sensory Environment at Home

신민경, 유은영, 김종배, 박혜연, 이재신, 이지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nsory processing evaluation tool for children based on their home environment. Methods: The steps in the development of the tool were as follows: 1) Studies were reviewed to determine the relevant environment areas and sensory items. 2) To select the preliminary item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an expert panel using the Delphi method. 3) The level of understanding among the parents was assess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data collection and Delphi survey showed a total of 6 areas, and 80 items were selected for inclusion in the sensory processing evaluation tool: a common area (12 items), living room (7 items), kitchen (15 items), bedroom (16 items), bathroom (19 items), and the entrance (11 items). Finally, the average content validity ration of the Delphi survey results was .95; the consensus, .85; and the stability, .11, which are regarded as high scores. Conclusion: A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 tool was developed for evaluating the sensory processing in children that considers the special sensory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hom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sensory processing evaluation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used in the delivery of effective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based on the environmental sensibility factors of sensory processing in children.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을 위한 가정환경 기반의 감각처리반응의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과정은 사전연구와 문헌고찰을 통하여 수집한 학령전기 아동의 가정환경과 관련된 감각처 리반응 항목들을 기초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조사는 감각통합치료 경험 5년, 석사 학위 이상을 획득한 작업치료사 20명을 대상으로 총 3회를 실시하였다. 델파이조사를 통해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ilidity Ratio; CVR), 안정도, 합의도, 평균지수를 산출하여 항목의 적절성 여부를 평정 하였으며, 학령전기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항목의 내용과 구성에 대한 이해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자료수집과 델파이 조사를 통해 결정된 항목은 가정의 물리적 환경에 따른 6개의 영역으로 총 80 개 항목이었다. 각 영역별 항목은 일반적 환경 12항목, 거실 7항목, 주방 15항목, 침실 16항목, 화장실 19항목, 현관11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최종 항목의 평균 CVR값은 .95로 높게 분석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국내 가정의 감각환경을 바탕으로 감각처리반응을 평가 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항목을 개발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추후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사용을 위해서는 각 평 가항목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대상자
3. 연구 과정
4. 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가정의 감각환경영역에 대한 구성과 예비항목 개발
2. 델파이 조사 결과
3. 보호자 이해도 조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신민경 Shin, Min-Kyoung. 라온제나 감각발달연구소 작업치료사
  • 유은영 Yoo, Eun-Young. 연세대학교 SWDH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
  • 김종배 Kim, Jong-Bae. 연세대학교 SWDH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
  • 박혜연 Park, Hae-Yeon. 연세대학교 SWDH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부교수
  • 이재신 Lee, Jae-Shin.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 이지연 Lee, Ji-Yoeun. 동남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