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s of Particulate Matter (PM) Exposure on Death from Lung Disease using Spatial Panel Data Models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articulate Matter (PM) on deaths from lung diseases during the period 2015-2019 in Korea. To this end, a spatial panel data model was constructed to statistically test the effects of PM2.5 and PM10 exposure on the number of lung cancer and pneumonia death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more time exposed to high concentration of PM2.5, PM10, and SO2, the number of lung disease deaths increases. In addition, the higher the wind speed, the higher the mortality rate from lung diseases, suggesting that these variables affect the concentration and transition of pollutants and have a direct effect on lung disease. As expected, the analysis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the sewage treatment industry, the higher the mortality rate from lung disease.
한국어
최근 국내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국민의 건강과 생명이 위협받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한국 미세먼지가 폐질환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PM2.5와 PM10에 노출 정도가 폐암과 폐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전국 시군구를 대상으로 2015-2019년 동안의 폐암 및 폐렴 사망자수와 PM2.5와 PM10 노출 시간자료를 이용하여 패널 데이터 모형을 구축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SO2, CO 등 다른 대기오염 변수, 온도, 습도 등 기후변수, 제조업, 하수종말처리업 등 산업 변수, 그리고 65세 이상 인구, 의료병상수, 주택가격 등 인구 및 경제변수 등을 모형에 포함하였다. 분석결과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을수록 폐질환 사망자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SO2 노출시간비율도 폐질환 사망자수를 증가시키는 중요한 환경적 요인이라는 분석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온도와 습도가 높을수록 폐질환 사망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변수가 오염물질의 농도와 전이에 영향을 미치고 폐질환에도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통계적 검정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예상하는 바와 같이 노인 인구 (65세 인구 비율)가 많을수록, 대기질에 영향을 주는 하수처리업 비율이 높을수록 폐질환 사망률이 높아진다는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PM10, PM2.5 그리고 SO2에 대한 노출정도가 폐질환 사망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결론은 이들 대기 오염이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대기오염의 경감을 위한 정부 개입의 당위성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폐질환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대기오염 물질과 기후 요소는 현재 전 지구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 위기 대응과 탄소 중립 이슈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자료 및 분석방법
3.1. 자료 및 변수설정
3.2. 분석모형
4. 분석 결과
4.1. 탐색적 분석
4.2. 공간 패널 모형 분석 결과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