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목빗근에 대한 허혈성 압박법이 위등세모근의 만성 통증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 of Ischemic Compression on Sternomastoidcleido Muscle on Chronic pain in Upper Trapezius Muscle

심지훈, 박태성, 강종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incorrect and unhealthy postures have become increasingly prevalent due to reasons such as smartphone use. Consequently, imbalanced muscle contraction occurs. In particular, if the oblique muscle is contracted, the accessory nerve will be compressed, causing ischemic pain in the upper trapezius muscle.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pain in the upper trapezius muscle, this study applied the ischemic compression method to the accessory nerve capture point at the 1/3-point of the oblique cervical muscle. In this study, the ischemic compression method was applied to eight women twice a week for four weeks, and pain was evaluated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three weeks after application. The visual analogue scale, McGill Pain Questionnaire, and pressure dynamometer were used to evaluate subjects’ pai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ain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treatment, and that the pain reduction was still effective three weeks after completion of the intervention, indicating that the intervention on the accessory nerve compression point on the oblique cervical muscle was both effective and long-lasting for pain reduction in the upper trapezius muscle. Future studies should increase the number of subjects to check not only pain reduction in the upper trapezius muscle, but also improvement of neck function.

한국어

최근 스마트폰 사용 등과 같은 이유로 잘못된 자세가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근육들의 불균형 단축이 발생하고 있는데 특히 목빗근이 단축되면 더부신경이 압박되어 위등세모근의 허혈성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목빗 근 1/3지점의 더부신경 포착점에 허혈성 압박법을 중재하여 위등세모근의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여 성 8명을 대상으로 4주간 주 2회 중재하였고, 중재 전, 후 그리고 중재 종료 3주 후 평가하였다. 대상자들의 통증을 알아보기 위해 시각적 사상 척도와 맥길 통증 설문지 그리고 압력 통각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치료 후 통증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중재 종료 3주 후 역시 통증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여 목빗근의 더부신경 압박점의 중재가 위등세모근의 통증 감소와 지속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차후 연구에서 대상자를 늘려 위등세모근의 통증 감소뿐만 아니라 목의 기능개선도 확인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중재방법
2.3 측정도구
2.4 통계처리
3. 결과
3.1 시각적 사상 척도 결과
3.2 맥길 통증 설문지 결과
3.3 압력 통각계 결과
4. 고찰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심지훈 Ji-Hun Sim. 부산가톨릭대학교 물리치료학과 학생
  • 박태성 Tae-Sung Park. 부산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연구원
  • 강종호 Jong-Ho Kang. 부산가톨릭대학교 물리치료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