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K-Drama <킹덤>이 전시하는 토속적 미래학 : 순종의 열망과 잡종의 변이 혁명

원문정보

Vernacular futurism exhibited by K-Drama “Kingdom” : The aspiration of becoming a monster, and the narrative between purebred and crossbreed hybrid

이원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OTT platforms such as Netflix have continued to grow over the past three years, K-Drama, following K-Pop are having a big wave and ripple effect overseas enough to bewilder Koreans. Existing K-Drama allowed experimentation of various genres according to the grammar of OTT, and among them, the innovation of and made us look back on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K-Drama. This paper argues that among the factors that K-Drama have been accepted abroad they have the characteristic of political revolutionaryness that calls into question ones’s identity and ignites the desire for social change. For this purpose, among the numerous K-Drama works produced since 2019, Kim Eun-hee's impressively developed the 'monstrous theory' of zombies, which is the desire for social change in the background of the Joseon Dynasty. First, the revolutionary nature of K-Drama is revealed as a new spatial aesthetic in K-storytelling, and it can be seen that it is a setting that is uniquely and frequently borrowed from and other politicized films and dramas such as . Second, especially in K-Drama, 'blood' is often used as a symbol of equality. In , the setting of a zombie eating human flesh refers to the transformation or becoming a monster, and the narrative about blood and bloodlines which refer to between purebred and crossbreed hybrid. In also, the blood that the participants show when they die go directed to the moment when the weak become red, the only way the weak can stand in the same rank as the strong, paradoxically, reveals the setting of being freed from class subordination and gaining freedom only after death. Third, K-Drama saw that there was an ideological rationale to support this revolutionaryness.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that the monster theory of the Joseon dynasty exhibited in is has a deep affinity with Deleuzian theory of becoming and the Korean Donghak ideology. Through this, it is emphasized that the Neo-monster theory,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combination of tradition and modern thought(so to speak, vernacular or indigenous futurism), was able to gain persuasive power as a new genre. This ideological uniqueness is one of Korean strengths and function as it political solidarity. These three characteristics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different texture from the concentional zombie films to the death game genres in K-Drama. and what K-contents, which are attracting attention in the world today, deserves to be evaluated as singular and sustainable.

한국어

K-Drama는 최근 3년간 OTT 플랫폼의 성장과 함께 한국인을 어리둥절 하게 할만큼 해외에 큰 파장과 파급력을 미치고 있다. K-Drama가 OTT 문법에 맞춰 다양한 장르실험을 할 수 있도록 재정적 여건도 갖춰진 이유 도 있다. 그러나 <킹덤>과 <오징어게임>의 성공은 관습적인 좀비나 데스 게임 장르와 차별화되는 K-Drama 특유의 강렬한 메시지에 힘입은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해외 팬들이 K-Drama를 환호하는 여러 요인 중에서 기존 정체성을 의문에 부치고 변이나 생성의 욕망에 불을 붙이는 ‘정치적 혁명성’이란 메시지적 특성을 집중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제작된 수많은 K-Drama 작품 중에서도 특히 김은희 작가의 <킹덤>을 중점으로 분석한다. <킹덤>은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신분계 급의 변이 욕망을 좀비라는 ‘괴물론’으로 전개하는데, 크게 세 가지 점에 서 여타 좀비물과 색다른 메시지를 전달했음을 살펴볼 것이다. 첫째, K-Drama가 제기하는 계급과 소득 격차의 형평성 문제는 K-스토리텔링에 서 새로운 공간 미학으로 드러나게 되는데, 이는 <킹덤>을 비롯한 여타의 정치성을 갖춘 영화와 드라마 <설국열차>와 <기생충> 등에서 독특하게 자주 차용되고 있는 설정이다. 둘째, K-Drama에서는 유독 ‘피’가 평등의 상징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데, <킹덤>에서 인육을 먹는 좀비의 설정은 괴 물의 변신이나 ‘되기론’을 말하며, 피와 핏줄에 대한 서사는 순종과 잡종 의 정체성을 상징한다. <킹덤>에서 피는 죽어서야 역설적으로 계급의 종 속으로부터 풀려나 자유를 얻는다는 설정으로 드러낸다. 셋째, K-Drama에는 이런 혁명성을 뒷받침하는 사상적 논거가 충분하다고 보았다. 본고 는 특히 <킹덤>에서 전시한 조선시대의 괴물론은 들뢰즈의 생성변화에 대한 ‘되기론’과 유학에 대항한 계급혁명인 동학 사상과 강한 친연성이 내 재돼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 전통과 현대의 사상의 결합(indigenous or vernacular futurism: 토속적 미래학)으로 설명할 수 있는 신괴물론이 새로운 장르로 설득력을 얻을 수 있었다고 본 것이다. 이러한 사상적 독 특성은 한국 콘텐츠가 가진 강점이기도 하며 특히 정치적 연대를 제시하 고 있기에 해외에서 K-서사의 인기를 이어나갈 잠재력을 갖고 있다. 이 같은 세 가지 특징은 K-Drama 중의 <킹덤>이 여타의 해외 좀비물이나 데스 게임 장르가 전시하는 피나 욕망과는 색다른 결을 생성하는 데 기여 하며, 이는 오늘날 세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K-콘텐츠가 주는 특이성과 지 속가능성이라 할 만하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킹덤>이 전시하는 정치적 혁명성과 토속적 미래학
(1) <킹덤>이 전시하는 투쟁성과 K-좀비의 의미
(2) 토속적 미래를 전시하는 <킹덤>의 첫 번째 특성: 공간미학
(3) 토속적 미래를 전시하는 <킹덤>의 두 번째 특성: 피
(4) <킹덤>의 세 번째 특성: 동학사상과 들뢰즈 괴물론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원진 Lee, Wonjean. 연세대학교 미래융합연구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