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옛 지도에 나타난 도시의 이미지 : 송파의 나이테 읽기

원문정보

The image of the city on the old map : Read Songpa's annual ring

심승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aps are media created by reducing space. In the Joseon Dynasty, when maps began to be produced in earnest, unlike modern maps made up of various symbols, pictorial maps were made. In particular, maps of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influenced by real landscape and landscape paintings, and not only painted the real landscape of the region but also sublimated it into works of art. In it, the spatiality and unique context of the city are clearly revealed three-dimensionally. The intention is to read the facial expressions and tree rings of a city through old maps. The old name of Songpa was ‘Yeonpagon’. It means there is a foggy place by the river. After that, Yeonpagon was settled as 'Songpa' in the 17th century after being given names such as 'Sopagon' and 'Solpagon'. Songpa's rapid rise occurred in 1637 when Namhansanseong Fortress was used as a refuge for the king. Songpanaru was the fastest way from the capital city to Namhansanseong Fortress. Even after the war ended, Namhansanseong Fortress was valued as a place of protection for the royal family, and Songpa began to develop in earnest as a military city and a hinterland of the fortress. As a result, Songpajin (松坡鎭) in the upper part of the Han River has emerged as one of the three major security points in Seoul along with Yanghwajin (楊花鎭) in the lower part and Hangangjin in the middle. 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commerce and industry, Songpa has grown in population and is a gathering place for products, such as the installation of 9 government ships, the stationing of a villa for the officers of the Sueo Office, grain warehouses such as songpa spears and sueo dungeons, and the installation of yaso for the development of artillery. has grown rapidly as This background was also responsible for the growth of Songpajang as one of the 15 major jangsi in the early 19th century. Various maps including “Haedong Map” vividly capture the image of Songpa’s 18th century dynamic city.

한국어

지도는 공간을 축소해 만든 미디어다. 지도가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 작한 조선시대에는 다양한 기호로 이루어진 근대식 지도와 달리 회화식 지도를 만들었다. 특히 조선후기의 지도는 실경산수화의 영향을 받아 지 역의 경관을 사실대로 그렸을 뿐만 아니라 예술품으로까지 승화시켰다. 그 속에는 도시의 장소성과 고유한 맥락이 입체적으로 잘 드러난다. 옛 지도를 통해 한 도시의 표정과 나이테를 읽어내려는 의도가 여기에 있다. 송파의 옛 지명은 ‘연파곤’이었다. 강가에 안개가 자욱한 곳이라는 뜻이 다. 연파곤은 그 뒤 ‘소파곤’, ‘솔파곤’ 등의 지명을 거쳐 17세기에 ‘송파’ 로 정착되었다. 송파가 급부상한 것은 1637년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을 국 왕의 피난처로 삼으면서였다. 도성에서 남한산성으로 가는 가장 빠른 길 이 송파나루였던 것이다. 전쟁이 끝난 뒤에도 남한산성이 왕실의 보장처로 중시되자, 송파는 산 성의 배후도시이자 군사도시로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한강 상류의 송파진(松坡鎭)은 하류에 양화진(楊花鎭), 그 중간에 한강진 과 함께 서울 경비의 3대 요충지로 떠올랐다. 또한 9척의 관선, 수어청 장교인 별장의 주둔, 송파창·수어둔창 등의 곡식창고, 화포 개발을 위한 야소(冶所)의 설치 등 송파는 상공업의 발달과 함께 인구의 증가, 물산의 집합지로서 급성장하였다. 19세기 초반 송파장이 전국의 15대 장시의 하 나로 커진 것도 그러한 배경이 작용하였다. 「해동지도」를 비롯한 각종 지 도들은 송파의 18세기 역동적 도시 이미지를 생생히 담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옛 지도 속의 송파 이미지
(1) 조선전기의 지도
(2) 조선후기의 지도
3. 송파의 유래와 탄생
(1) 연파곤의 등장
(2) 연파곤에서 소파곤으로
(3) 소파곤에서 송파곶으로
4. 18세기 이후 송파진의 변화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심승구 Shim, Seung Koo. 한국체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