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역사-이미지 : 영화 푸티지의 역할

원문정보

History-Image: Role of Footage in Film

이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rough the new idea of ‘History-Imag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and memory or history, concentrating on what film image implies in Sunless. I investigate the ontological meaning of film as record and memory and also as an archive, that is, the ontological historicity of image, by researching the history-image, which is beyond the dichotomy between memory and history. Starting with fragmentation in Sunless by Chris Marker,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of footage in film. The film's fragmentary feature offers the foundation for footage to be combined into the film. Also, footage, which has fragmentarity, fluidity, and image in common with memory, is a suitable place to think about film's ontological historicity. The new existence as the ‘twilight zone’ or ‘history as becoming’ in-between space is achieved through film, which overcomes the dichotomy between memory and history. ‘Assemblage’, made of the collage of different footage, creates collective memory as ‘history’ while becoming overcoming historicism. The ontological historicity of film suggests us an important thought of what film can do, according to Marker's belief in Sunless that the images that substitute our memories become collective memory, and that the deformation of the past images and the alter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images will lead to the change of the present images, spectators, and the change for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는 크리스 마커의 <태양 없이>에서 푸티지의 의미가 무엇인지 를 중심으로 이미지가 기억과 역사와 연관맺는 방식을 ‘역사-이미지’라는 새로운 개념을 통해 살펴본다. 기억과 역사의 구분을 넘어서는 역사-이미 지 개념을 통해 기록과 기억으로서의 영화, 아카이브로서의 영화에 대한 존재론적 의미와 이미지의 존재론적 역사성을 탐색한다. 크리스 마커의 <태양 없이>는 우리에게 많은 질문을 던지는데, 그 중에서도 그의 영화구 성 원리라고 할 수 있는 파편화를 출발점으로 푸티지가 영화에서 어떤 역 할을 하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구성의 파편적인 성격은 이질적인 푸티지 가 영화 안으로 결합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해 주었고, 파편적이고 유동 적이면서 이미지로 떠오른다는 점에서 우리 기억과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푸티지는 영화의 존재론적 역사성을 사유하기에 좋은 장치이다. 영 화는 기억과 역사의 이분법을 무화시키며 그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여명의 영역’ 혹은 ‘생성으로서의 역사’라는 새로운 존재가 되었다. 그 중에서 도 영화에서 다양한 푸티지의 콜라주를 통해 이루어진 배치는 역사주의를 극복하면서 생성으로서의 ‘역사’로서 집단 기억을 생성한다. 우리의 기억 을 대체한 이미지들이 집단 기억을 생성하고, 과거 이미지들의 변형과 이 미지들의 관계의 변형이 현재의 이미지들의 변화, 관객의 변화 그리고 미래로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마커의 믿음에 따르면, 영화의 존재론적 역사성은 영화가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중요한 사유를 우리에게 제안한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태양 없이>의 구성원리: 파편화
1) <태양 없이>의 첫 시퀀스
2) 파편화의 원리
3. 기억과 역사 그리고 이미지: 역사-이미지
1) 기억과 이미지에서의 파편화
2) 푸티지: 기억과 역사 사이
3) 역사-이미지: 생성으로서의 역사
4. 이미지의 변형과 생성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지영 Lee, Jiyoung. 세종대학교 대양휴머니티칼리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