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비)물질적 디지털 가상세계의 탈경계성에 관한 시론

원문정보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the Transboundary of the (Im)material Digital Virtual World

김소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digital virtual world is forming a new mode of perception and collective intelligence, and is building a new technological media environment. However, still an important issue is the reflection on the ontological transformation of human beings in the digital virtual world. This is because the crossing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virtual world constantly summons the problems of the ambivalent or plural self-identity between traditional humans and future humans. Therefore, in order to reexamine the digital virtual world that drives technological imagination in a new way, this study will explore the o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entities and the transboundary of communication methods via the (im)materiality of the space. Therefore, this study is a theoretical exploration to advance to the practical achievements of a new ecosystem and a new humanity based on advanced technology. The transboundary digital entity to be dealt with will be illuminated as a mechanized and disembodied entity that results in the cyberself through the concept of cyborg and cyborg self. In addition, hybridity that desires a collective identity while being an individual entity is also examined. The reason why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urrent phenomenon in which the independence of digital entities is extended to the collectiveness of virtual communities is that it suggests an era of digital coexistence for all entities beyond interaction between entities. Next, regarding the communication of the disembodied cyberselves, I will focus on the non-linear and unstable narrative composed of detextualized and deimaged symbols. In fact, it is not easy to predict changes in the human body and living space in the future society. Humans produce technological media in pursuit of convenience, but technology tries to exist as a new actor without considering humans. As is well known, the dichotomy of humans as subjects and technology as objects has already been thrown out of the discourse, and there is no guarantee that the era of the singularity will not be reversed beyond the equal status of both. Despite these uncertainties in the future, what we have to do is to search for the universality that converges the differences by exploring past experiences and present phenomena. This study on the transboundary of entities and communication in the digital virtual world is no different from such a journey.

한국어

디지털 가상세계는 새로운 지각 양식과 집단 지성을 형성하며 첨단의 기술적 미디어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중요한 쟁점은 디지 털 가상세계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존재론적 변형 ontological transformation에 관한 성찰이다. 현실세계와 가상세계의 넘나듦은 전통적 인간과 미래 인간의 양가적 혹은 복수적 자아-정체성의 문제들을 끊임없 이 소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방식으로 기술적 상 상력을 추동하는 디지털 가상세계를 재검토하기 위하여, 그 공간의 (비)물 질성을 경유하며 디지털 개체의 존재론적 특성과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탈경계성을 살펴볼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첨단기술 기반의 ‘신(新)생태계’ 와 ‘신(新)인류’에 대한 실천적 성과들로 나아가기 위한 인문학적 탐색이 라 할 수 있다. 본론에서 다룰 탈경계적 디지털 개체는 사이보그와 사이 보그 자아의 개념을 통해 사이버자아로 귀결되는 기계화・탈육화된 존재로 조명한다. 덧붙여 개별적 독립체이자 집단적 정체성을 욕망하는 혼종성을 함께 검토한다. 디지털 개체의 독립성이 가상 공동체의 집단성으로 확장 되는 현상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개체 간 상호작용을 넘어 모든 개체 를 위한 ‘디지털 공생 digital coexistence’의 시대를 시사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탈육화된 사이버자아들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해서는, 탈텍스트 화・탈이미지화된 기호로 이루어지는 비선형적・불안정적 서사를 중심으로 고찰할 것이다. 기실 미래사회의 인간 신체와 거주 공간의 변화를 예측하 기란 쉽지 않다. 인간은 편리성을 추구하기 위해 기술적 매개체를 생산하 지만, 기술은 인간을 배려하지 않고 새로운 행위자로서 존립하려 한다. 주체로서의 인간과 대상으로서의 기술이라는 이분법은 이미 담론의 바깥 으로 던져졌으며, 양자의 지위가 역전되는 특이점 Singularity의 시대가 도래하지 않으리라는 보장도 없다. 이러한 미래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과거의 경험과 현재의 현상을 탐구하며 차이를 수 렴해가는 보편성을 찾아가는 노력일 것이다. 디지털 가상세계의 탈경계적 개체와 커뮤니케이션을 논구하는 본 연구도 그러한 여정과 다를 바 없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디지털 가상세계의 물질성과 비물질성
3. 디지털 가상세계의 탈경계적 개체와 커뮤니케이션
(1) 탈경계적 개체: 기계화/탈육화, 개별성/집단성
(2) 탈경계적 커뮤니케이션: 탈텍스트화/탈이미지화, 비선형성/불안정성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소영 Soyoung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