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최하림 시의 시간성과 말년성

원문정보

Temporality and Lateness in Poetry of Choi Harim

정끝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ring his fifty years of creating poetry, Choi Harim(1939~2010) accomplished seven collections and one complete work of poetry. After his seventh collection, his latest (twenty one) poems (in The Complete Works of Choi Harim’s Poetry) were created at the period(2005~2008) when he ‘entered a settled realm of his complete individual-self in absolute solitude’ from the occurrence of his hepatoman in addition to the sequelae of his apoplexy. The concept of ‘late style’ is useful in considering his style of writing poems in his last years. For Theodor Adorno, the lateness or late style is a “resistive style of artists contending and quarrelling permanently against everything in vogue during their lifetimes.” Beyond the norms or rules of existing genre, this means a freestyle with critical thoughts about the society of the time. This corresponds to the lateness of Edward Said who said that “the late works in art history end up collapsing.” The lateness of Choi Harim’s poetry is summarized as its shapedness, self-reflectiveness, and episodicity. In its shapedness, each line per verse of some of his poems with maximized enjambement reveals the temporal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as if it inscribes the instability or Angstblüte of life in common with love and death. And it reinforces the autobiographicality and subjectivity of the poet by repeatedly summoning his poor family history in his childhood. In this point, it maximizes its rhythm(songfulness) and voice(confessionality) through its self-reflectiveness re-contextualizing or repeating precedent texts of not only the poet but his predecessors. Besides, it allegorizes his inner landscape that was fragmented by illustrative episodes such as fragmentary memoirs, imagination, dreams and deliriums. This mingles excessive poetic devices such as mixture of tense or singular and plural, privatization of proper nouns, and maximization of using adverbs. These poetic features are poetic changes and challenges deviating largely from Choi Harim’s poetic world in his early and later poems. As a result of resisting the current trend of poetry and his existing poetic grammar, these can be seen as symptoms of the maximized late cracks and ends with sudden tensity, disconnectedness, leap, discontinuity and deviation. If the essence of lateness lies in explosion to crash and crush at culminating point of the ‘end,’ these poetic expressions of intricacies and cracks in last poems of Choi Harim are able to be a ‘late style.’

한국어

최하림(1939~2010)은 시력 50년 동안 7권의 시집과 1권의 시전집을 남겼 다. 제7시집 이후에 쓰인 최후기 시편들(『최하림 시 전집』에 실린 ‘근작 시 (2005~2008)’ 21편)은 뇌졸중의 후유증에 더해진 간암의 발발로 인해 육체적, 정신으로 죽음이라는 절대적 고독 앞에 당면한 시기에 창작된 작품들이다. 자신 의 삶을 마감해가는 말년의 시기에 보여주었던 시인 최하림의 시쓰기 양식을 살펴보기 위해 ‘말년의 양식’이라는 개념을 참조하였다. 테오도어 아도르노에게 말년성 혹은 말년의 양식은 “당대의 유행하는 모든 것에 영원히 맞서 싸우고 화 해하지 않는 예술가의 저항적 양식”이다. 기존의 장르적 규범이나 법칙으로부터 자유로우며 당대 사회에 대한 비판적 사유를 지닌 형식을 의미한다. “예술의 역사에서 말년의 작품은 파국이다”라고 했던 에드워드 사이드의 말년성과 상통 하는 지점이다. 최하림 시의 말년성은 형태성, 자기반영성, 삽화성으로 요약된다. 행간걸침을 극대화한 1행1연시를 통해 시간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사랑과 죽음이 공존하 는 삶의 불안정성 혹은 불안성을 각인하듯 시의 형태성에 담아낸다. 또한 가난 했던 유년의 가족사를 반복적으로 소환함으로써 시인의 자전(自傳)성과 주관성 을 강화한다. 이때 시인 자신은 물론 선배 시인의 선행 텍스트들을 재맥락화하 거나 반복하는 자기반영성을 통해 리듬(노래성)과 목소리(고백성)를 극대화한다. 이뿐 아니라 단편적 회상이나 상상, 꿈, 착란 등의 삽화적 에피소드들에 의해 파 편화된 내면 풍경을 알레고리한다. 여기에는 시제나 단·복수의 혼재, 고유명사의 사유화, 부사어 활용의 극대화와 같은 과잉된 시적 장치들이 뒤섞여 있다. 이러한 시적 특징은 최하림의 전·후기시들을 통해 견지해봤던 시세계와 비교 했을 때 편차가 큰 시적 변화이자 도전이다. 이는 자신의 기존 시 문법이나 당 대의 유행이나 무엇보다 자신의 기존 시 문법의 요구에 저항한 결과로서, 급작 스러운 긴장성, 단절성, 비약성, 비연속성, 이탈성 등을 극대화된 말년의 균열과 파국의 징후들이라 할 수 있다. ‘끝’이라는 절정의 지점에서 충돌하고 분쇄하는 파열에 말년성의 본질이 있다면, 최하림 최후기 시편들에서 보이는 이러한 착종 과 균열의 시적 표현들은 ‘말년의 양식’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한국 현대시와 최하림의 말년성
2. 최하림 최후기시의 말년의 양식
1) 형태성 : 행·연의 단절성과 각인(刻印)성
2) 자기반영성 : 되풀이의 반복성과 복수성
3) 삽화성 : 알레고리적 단편성과 혼종성
3. 시간의 ‘배후’를 언어화하는 말년의 양식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끝별 Jeong, Keutbyul.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