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가직무능력표준 활용분야별 적용 기준 실태분석 : 직업훈련, 직업교육, 자격분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nalyzing the Current State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Utilization in Vocational Training, Vocational Education and Vocational Qualification

이영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known as NCS is a systematic approach for identifying the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which need for performing a job in sectoral workplace. NCS has been expected to close the gap of competencies between schooling and labor market. However, criteria for applying NCS varied across vocational training, vocational education, and vocational qualification field. In consequenc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met the discrepancies among criteria and had difficulties in utilizing it. Especially, there has been a little effort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s of NCS utilization until now.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utilization of NCS in various fields and suggest new implication for linking NCS criteria among fields. In the results, we found that NCS utilization criteria has a lack of consistency in terms of application, a limits of proportion in application, organizational standards for time in vocational training. In case of vocational education, there have not been consistency in application of NCS by government funding projects. Finally, there is no consistency among test question criteria, training criteria, course design criteria, and evaluation criteria. In addition, we need to set a principle for utilization as well as flexibility of NCS criteria.

한국어

산업에서 직무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소양 등을 국가가 산업부문과 수준별 로 체계화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은 학교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 불일치를 해소하는 중요한 기제이 다. 그런데, 직업훈련, 직업교육, 자격분야별로 NCS를 적용하기 위한 기준이 상이하여, 직업훈련기관, 학 교, 자격 운영기관들의 운영 혼란을 초래하고, 분야 내에서도 사업별로 다른 기준을 적용하여 NCS의 효 과가 반감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분야나 사업별로 NCS가 적용되는 기준에 대 한 실태분석도 미흡하여 NCS 활용과 확산의 저해 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NCS가 적용되는 대표적인 분야인 직업훈련, 직업교육, 자격분야 및 세부 사업에서 NCS가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실태 를 분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연계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직업훈련에서는 세부 사업별 로 NCS 적용과 미적용, 최소비율, 시간 기준 편성 등이 다르게 운영되고 있고, 직업교육에서는 NCS는 정부 지원사업에 영향을 매우 많아서 기준 적용의 일관성이 낮았으며, 자격분야의 경우, 자격검정방식에 따라 NCS를 적용하는 방식이 상이하였다. 결과적으로 자격 출제기준, 훈련기준, 과정 편성기준, 심사평 가 기준을 시급히 정비하고 체계적으로 연계해야 한다. 또한, 연계를 위한 기본원칙을 정하되, 분야나 사 업별로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는 조건을 부여하는 것도 필요하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1. 국가직무능력표준 관련 연구의 동향
2. 국가직무능력표준 활용과 기준 관련 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1. 직업훈련분야의 적용 기준 분석결과
2. 직업교육분야의 적용 기준 분석결과
3. 자격분야의 적용 기준 분석결과
Ⅴ.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영민 Young-Min Lee. 숙명여자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