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논문 : 동학농민혁명과 전라도 부안

동학농민혁명의 음악 양상과 문화콘텐츠로서의 잠재성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usical Aspects and its potential as cultural content of the Donghak Farmers’ Revolution

김정희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60호 2021.12 pp.77-11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and roles of music of Donghak, and the actual conditions centering on musical elements and cultural usability and seek ways to utilize music of Donghak as cultural content today. For this purpose, music of Donghak made during the period from the foundation of Donghak to the official announcement of Cheondo-Gyo (1860-1905) and songs that reveal the connection with Donghak in folk songs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first, a review of the aspects and roles of music of Donghak shown in the literatures. Second, it is a review of the existing music related to Donghak. Third, it is the potential and utilization plan of Donghak music as cultural cont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arratives of the Donghak Revolution are indicated in the patterns of musicians’ activities during the Donghak Revolution recorded in the literatures, the texts of songs, and the lyrics and poems contained in the Scripture of Cheondo-Gyo. Second, the melodies handed down to Cheondeok-Song and folk songs, such as Jumun and Saeya Saeya, contain the reality of music of Donghak. Third, the texts conveyed in the literature and the melodies conveyed in music contain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where the Donghak Revolution took place, which can be used as a material for various works of art in the future. Fourth, if we combine the narrative of Donghak with the lyric of folk songs, put the orientation and emotion of ‘now’ and ‘here’ into them, and breathe artistic breath on it, music of Donghak can be reborn as a new cultural content with history, regionality, times and identity.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음악의 양상과 역할을 살펴보고, 음악 요소와 문화적 활용성을 중심으로 그 실태를 고찰한 후, 오늘날 문화콘텐츠로서 동학음악이 활용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동학 창도 이후 천도교 공표 이전까지의 기간(1860~1905년)에 만들어진 동학음악과 토속민요 내에서 동학과의 연관성을 드러내는 노래들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기록에 나타난 동학음악의 양상과 역할에 대한 고찰이다. 둘째, 현존하는 동학 관련 음악에 대한 고찰이다. 셋째, 문화콘텐츠로서 동학음악의 잠재성과 활용방안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에 기록된 동학혁명 당시의 음악인들의 활동 양상과 노래의 텍스트, 그리고 천도교경전에 수록된 가사와 시가들에는 동학혁명의 서사들이 담겨있다. 둘째, <주문>과 <새야 새야> 등 천덕송과 토속민요에 전해오는 선율들은 동학음악의 실체를 담고 있다. 셋째, 기록에 전하는 텍스트들과 음악에 전하는 선율들은 동학혁명이 전개된 각 지역의 양상과 특성을 담고 있으며, 이는 향후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 넷째, 동학의 서사와 민요의 서정을 만나게 하고, 여기에 ‘지금’, ‘이곳’의 지향과 정서를 담아, 그 위에 예술적 숨결을 불어넣는다면, 동학음악은 역사성과 지역성, 시대성과 정체성을 모두 갖춘 새로운 문화콘텐츠로서 다시 태어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기록에 나타난 동학음악의 양상과 역할
1) 동학혁명에서 음악인들의 활동 양상
2) 동학혁명 당시의 노래들
3) 천도교경전에 수록된 가사와 시가들
3. 현존하는 동학 관련 음악
1) 주문(呪文)
2) 민요 <새야 새야>
4. 문화콘텐츠로서 동학음악의 활용방안
1) 서사의 활용방안
2) 선율의 활용방안
5.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정희 Jeonghee Kim.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