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논문 : 동학농민혁명과 전라도 부안

동학농민혁명과 관련된 문화 콘텐츠의 연구 동향 분석과 앞으로의 과제 - 부안 백산 역사공원에서의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cultural contents related to Donghak (東學) Peasant Revolution and future tasks (Focused on the use plan in Buan Baeksan Historical Park)

우수영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60호 2021.12 pp.39-7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bout the aspects and trends of cultural contents for the development of spatial contents for the Donghak(東學) Peasant Revolution in Buan(扶安).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alternative that Buan(扶安) Baeksan(白山) Historical Park can be converted into the spatial contents so that koreans in the 21st century can sympathize with and experience, rather than staying in the past space of memories as historical documents or commemorative events. As the first dicussion stage of this study, the existing research trends on the categories and aspects of cultural contents related to the Donghak(東學) Peasant Revolution were examined. From the early 1960s, academic journal papers or dissertations on cultural contents began to appear, and the number steadily increased. What is particularly striking about these existing discussions is that as we enter 2015, discussions about the location, status and methodologies of cultural contents are frequently being discussed. Furthermore, in the late 2010s, more and more local cases where cultural contents were fused with technology are appearing. In particular, research on cultural contents related 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produced in the late 2000s is being discussed in relation to local cases. Next, we discussed the literary achievements of reproducing the Donghak(東學) Peasant Revolution in Buan(扶安) in Korean literature, focusing on the prototype of the contents in Korean literature. Park Tae-won and Song Ki-suk vividly reproduce the reality of the Baeksan Congress(白山大會) in the preceding epic, Baeksan(白山) is highlighted as a gathering place to a new world and a starting point for victory in Jeonju-seong(全州城). In the previous epic, Shin Dong-yup vividly conveys the story of the Donghak(東學) Peasant Revolution in Gobu(古阜), Baeksan(白山), and Jeonju(全州). And in the previous play, Cha Beom-seok reminds us that the Donghak(東學) Peasant Revolution is still a current event, starting with the death of General Nokdu in the past and ending with the death of a righteous person who is currently being persecuted. As a result, the song reminds us that the Donghak(東學) Peasant Revolution is still a current event. In the last discussion, six spaces that can be concretely realized as spatial contents in Buan(扶安) Baeksan(白山) Historical Park were planned: a digital platform, an experience space, a performance space, an education space, an exhibition space, and a communication space. The spatial contents planned and created in this way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local residents as well as general spatial visitors to experience and inherit the spirit of Donghak(東學),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act as a driving force for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richer Donghak(東學) Peasant Revolution cultural contents.

한국어

이 연구는 부안 동학농민혁명 공간 콘텐츠 개발을 위한 문화 콘텐츠 양상과 동향에 대한 논의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자생 문화인 동학이 역사적 사료나 기념적 사건이라는 기억의 과거 공간에 머물지 않고 21세기 한국인이 공감하고 체험하는 부안 백산 역사공원이라는 공간 콘텐츠로 전환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그 첫 번째 논의에서, 동학농민혁명 관련 문화 콘텐츠의 범주와 양상에 대한 기존연구 동향을 살폈다. 1960년대 초반부터 문화 콘텐츠에 대한 학술지 논문이나 학위 논문이 등장하기 시작했고, 꾸준하게 그 편수가 증가했으며, 2000년대 후반부터는 폭발적으로 문화 콘텐츠를 연구한 논문의 수가 증가했다. 이들 기존 논의에서 특히 눈에 띄는 점은 2010년대 중반에 접어들면서 문화 콘텐츠의 입지 및 위상 그리고 방법론에 대한 논의가 자주 논의되고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 2010년대 후반에 갈수록 문화 콘텐츠를 기술과 융합된 지역 사례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2000년대 후반에 생산된 동학농민혁명과 관련한 문화 콘텐츠 연구는 지역 사례와 연관되어 논의되고 있다. 두 번째 논의 단계에서, 콘텐츠의 원형 즉 한국문학에 초점을 두고 한국문학에서 보인 부안 동학농민혁명을 재현한 박태원의 『갑오농민전쟁』, 송기숙의 『녹두장군』, 신동엽의 『금강』, 차범석의 『새야 새야 파랑새야』을 논의했다. 박태원과 송기숙은 앞의 대서사에서 백산 대회의 실체를 생생하게 재현함으로써 새로운 세상으로 가는 집결지 및 전주성 승리의 단초로 백산을 부각한다. 또한 신동엽은 앞의 대서사시에서 동학군이 보인 동학 정신과 혁명성을 내재한 엄청난 우리의 역사를 고부, 백산, 전주에서 펼쳐진 동학농민혁명의 이야기를 통해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그리고 앞 희곡에서 차범석은 과거 녹두장군의 죽음으로 시작하여 박해받는 현재 의인의 죽음으로 마무리하면서 동학농민혁명이 여전히 현재적 사건임을 파랑새 노래를 통해 상기하게 한다. 마지막 논의에서, 부안 백산 역사공원에서 공간 콘텐츠로 구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6개의 공간즉 디지털 플랫폼, 체험 공간, 공연 공간, 교육 공간, 전시 공간, 소통 공간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기획되고 조성된 공간 콘텐츠는 지역민뿐만 아니라 일반 공간방문자들이 동학 정신을 체험하고 계승하는 토대가 될 것이며, 더 풍부한 동학농민혁명 문화 콘텐츠의 확장 발전하는 향후 동력으로 작동할 것이라 기대된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문화 콘텐츠의 범주와 양상에 대한 연구 동향
3. 동학농민혁명의 문화 콘텐츠에 대한 논의 양상
4. 동학농민혁명을 형상화한 한국문학의 성과 및 전망
4-1. 『갑오농민전쟁』의 대서사에 공감하는 하나의 공동체
4-2. 『녹두장군』의 대서사에 등장하는 민중 주체의 힘
4-3. 『금강』을 통해 이야기되는 엄청난 역사
4-4. 『새야 새야 파랑새야』를 통해 울려 나가는 동학의 현재성
5. 결론을 대신하여 - 동학농민혁명의 부안 백산 공간 콘텐츠에 기여하는 한국문학 콘텐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우수영 Sooyoung Woo. 경북대학교 교육혁신본부 교양교육센터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