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협력적 소비를 위한 지속가능 패션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원문정보

Developing Guidelines for Sustainable Fashion Designs for Collaborative Consumption

임민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develop guidelines for sustainable fashion designs for the revitalization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llected and classified domestic and overseas cases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and drew sustainable design elements by the stage of the life of products.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a fashion expert group to investigate sustainable fashion designs for collaborative consumption. It proposed fashion design guidelines, applying the results to the stages of life of sustainable clothing products.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cases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services, it showed collaborative consumption was done in the forms, such as the trade of used goods, rental services, and clothes donation. It was found that the durability of clothing products, original design, hygiene management of products, trend, value as a means of investment techniques, and the flexibility of product size were the factors increasing collaborative consumption. Easy procedures saving time, sanitary administration service for clothing products, gaining confidence in authenticity assurance and pricing, convenient pickup and delivery services, exchange and refund processing, and the provision of conveniences like laundry and repair revitalize collaborative consumption. Fashion design guidelines for collaborative consumption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roduct design and production stages, the use of eco-friendly clothing materials, the design to increase clothing durability, pattern making, and sewing method considering the reuse of clothing should be integrated. Second, in the clothing distribution stag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distribution system considering the reuse. Third, in the stage of the use of clothing, accurate information on clothing washing and care should be provided to reduce the use of resources and minimize the impact on the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causes of the shortening of the life of clothing, develop designs that can meet the user’s needs for a long time and the designs of the clothing easy to repair and expand clothing repair services. Fourth, in the clothing disposal stage,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clothing to take it into pieces easily with the separation operation that allows the recycling and minimizes wastes. It is necessary to do the efficient collection by providing substantive benefits or economic incentives for consumers’ voluntary participation that limits the use of harmful substances and reduces clothing wastes. The fashion design guidelines reconstructed by adding design elements for collaborative consumption to sustainable design elements can be utilized as a practical plan for the fashion industry that can meet the changing social values and resolve growing environmental problems when the guidelines are reflected from the planning stage through the disposing process.

한국어

이 연구는 협력적 소비 활성화를 위한 지속가능 패션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협력적 소비 관련 사례를 수집하여 분류하였고 제품의 수명 단계별 지속가능한 디자인 요소 를 도출하였다. 패션 전문가 집단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협력적 소비를 위한 지속가능 패션디자인을 조사하였다. 이 두 결과를 지속가능 의류 제품 수명 단계에 적용하여 패션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 다. 협력적 소비 서비스 사례 분석 결과, 협력적 소비는 중고거래, 대여 서비스, 의류 기부의 형태로 이루어 지고 있다. 의류 제품의 내구성, 독창적 디자인, 제품의 위생 관리, 유행성, 재테크 수단으로의 가치, 상품 사이즈의 유연성은 협력적 소비를 활성화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시간을 절약하는 간편한 절차, 의류 제품의 위생 관리 서비스, 진품 보장과 가격 책정에 대한 신뢰성 확보, 편리한 수거와 배송 서비스, 교환 및 환불 처리, 세탁과 수선과 같은 편의성 제공이 협력적 소비를 활성화하고 있다. 협력적 소비를 위한 패 션디자인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품 설계 및 생산 단계에서는 친환경 의류 소재 사용, 의류 내 구성을 높이는 디자인, 의류 재사용을 고려한 패턴 제작과 봉제 방법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의류 유통 단계에서는 재사용을 고려한 유통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의류 사용 단계에서는 자원의 사용을 줄이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의류 세탁과 관리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 다. 의류의 수명을 단축하는 원인을 제거하고, 사용자 요구를 오랫동안 충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과 의류 수선이 쉬운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의류 수선 서비스의 확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의류 폐 기 단계는 의류를 재활용할 수 있는 분리 작업과 폐기물을 최소화하는 디자인으로 해체가 쉽게 디자인해 야 한다. 유해 물질의 사용을 제한하고 의류 폐기량을 줄이는 소비자의 자발적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체감 할 수 있는 혜택이나 경제적 인센티브 제공으로 효율적 회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지속가능 디자인 요소에 협력적 소비를 위한 요소를 추가하여 재구성한 패션디자인 가이드라인이 기획 단계부터 폐기과정까지 반 영될 때 사회적 가치변화에 부응하고 심각해지는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패션 산업 실무 방안으로 활 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의류 제품의 협력적 소비의 개념
Ⅲ. 연구 방법
1. 연구 방법 및 절차
2. 연구 범위
3. 연구 문제
Ⅳ. 연구 결과
1. 의류의 협력적 소비 사례
2. 협력적 소비 활성화 요인 도출 결과
3. 협력적 소비를 위한 지속가능 의류 제품디자인 심층 인터뷰 결과
4. 협력적 소비를 위한 의류 제품 디자인가이드라인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임민정 Im, Min Jung. 서원대학교 패션의류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