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불안 증상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에 대한 평가절하와 자기개념의 편향된 활성화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

원문정보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Social Anxiety Symptoms :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Disqualification of Positive Social Outcome and Biased Activation of Self-concept

박성혁, 안정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social anxiety symptoms, considering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disqualification of positive social outcome and biased activation of self-concept. 220 adults had conducted survey including Fear of Positive Evaluation Scale (FPE), Disqualification of Positive Social Outcome Scale (DPSO), Social Interaction Self-Statement Test, Social Phobia Scale (SPS),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IAS) all in Korean version. The biased activation of self-concept was assessed as SISSTT, sum of reversed SISSTP, positive self-statement in social situation, and SISSTN, negative self-statement in social situation.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Jamovi version 1.2.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PE, DPSO, SISSTT, SIAS, SPS a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in positive direction with moderate size. Second,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 of DPSO and biased activation of self-concept between FPE and social anxiety symptoms was significant. Third, single indirect effect of DPSO between FPE and social anxiety symptoms in performance situation. From these results, we can identify important variables of positivity-deficits in social anxiety and how it is related to social anxiety symptoms. We also discussed sociocultural and clinical implications. Future researches should consider more strict grouping criteria, also disorder-or-symptom-specific factors and sociocultural context of emotion regulation, which might enrich our understanding of social anxiety.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의 인지 양상 중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상호작용 상황에서의 사회불안 증 상,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수행 상황에서의 사회불안 증상 간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 에 대한 평가절하, 사회적 상황 내에서 활성화되는 편향된 자기개념이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를 갖는지를 각각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세 이상의 성인 220명을 대상으로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의 평가절하 척도, 편향된 자기개념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는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자기 진술 검사, 사회불안 증상을 측정하는 한국판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와 한국판 사회공포증 척도 등을 사용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 참가자 모집과 설문 작성은 모두 온라인상에서 진행되었다. 상기의 변인들은 모두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이중매개 분석 결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사회적 상호작용 상황과 수행 상황에서의 사 회불안 증상의 유지 및 심화에 각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긍정적인 사회적 경험에 대한 평 가절하가 상황 내에서 편향된 방식의 자기개념을 활성화 시키는 방식으로 그 관계를 매개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 다. 또한, 사회적 수행 상황을 포함하는 순차적 이중매개 모형에서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에 대한 평가절하의 단 독매개 효과도 유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사회불안 증상의 유지 및 심화에 중요한 변인들을 파악할 수 있으며, 정서의 사회적 기능과 문화적 맥락에 주목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사회불안에 대한 이해를 확 장하는 것을 돕고 임상적 개입에 새로운 초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향후에는 보다 엄격한 집단 구분을 바탕으로 장애 및 증상-특수성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정서조절 전략을 분석한다면 사회불안에 대 한 이해가 더욱 깊어질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대상
측정 도구
분석 절차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성혁 Sung-Hyuk Park. 삼성전자 열린상담센터
  • 안정광 Jung-Kwang Ahn.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