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불안 관련 자기신념 척도의 타당화 : 한국 대학생 표본을 대상으로

원문정보

Validation of the Self-Beliefs Related to Social Anxiety Scale in Korean Samples of University Students

정민선, 조용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validate a Korean version of the Self-Beliefs Related to Social Anxiety (K-SBSA) Scale developed by Wong & Moulds(2011). Study 1 examine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SBSA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on the data collected from a Korean sample of university students(n=201) and evaluated its internal consistency. A subsample of 95 participants completed the K-SBSA once again after 2 and 8 weeks to examine its test-retest reliability. The results of EFA of the K-SBSA revealed a three-factor solution - Conditional Beliefs concerning Social Evaluation, Unconditional Beliefs about the Self, and High Standards for Social Performance,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version of the SBSA. In addition, the K-SBSA and its three subscales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good test-retest reliability. Study 2 examined the replicability of the three-factor structure reported in Study 1,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nd with an independent sample of university students(n=461). The results of CFA indicated that the three-factor model provided an adequate fit to the data. Moreover, the K-SBSA and its subscales had goo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two studies suggest that the K-SBSA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for measuring maladaptive self-beliefs related to social anxiety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Lastly, the K-SBSA can be widely used to identify the cognitive mechanism underlying social anxiety or social anxiety disorder in Korea, establish treatment plans for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nd evaluate its efficacy and effectiveness.

한국어

Wong과 Moulds(2011)에 의해 개발된 ‘사회불안 관련 자기신념 척도(Self-Beliefs Related to Social Anxiety Scale, SBSA)’를 우리나라 말로 번역하고 한국 대학생 표본을 대상으로 심리측정적 속성들을 검토하고자 두 가지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 표본(n=201)으로부터 SBSA의 문항 15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평가에 대한 조건적 신념’, ‘자신에 대한 무조건적 신념’, ‘사회적 수행에 대한 높은 기준 신념’의 3개 요인으로 구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판 SBSA 전체 척도 및 세 가지 하위척도들 모두 2주와 8주 간격의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내적 일치도가 지지되었다. 연구 1과 다 른 독립된 표본(n=461)을 대상으로 한 연구 2에서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적용한 결과, 연구 1에서 보고된 3 요인모형이 반복 검증되었다. 한국판 SBSA의 하위척도들의 수렴 및 변별타당도가 지지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결과들은 한국판 SBSA가 한국 대학생들의 사회불안 관련 부적응적 자기 신념을 측정하는데 있어 신뢰 롭고 타당한 도구임을 시사한다. 끝으로, 한국판 SBSA는 국내에서 사회불안이나 사회불안장애의 인지적 기 제를 규명하는데, 인지행동치료를 적용하기 위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인지행동치료의 효능과 효과를 평 가하는데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
연구 1. 사회불안 관련 자기신념 척도의번안과 탐색적 요인분석
방법
척도 번안 절차
연구 대상
측정 도구
자료 분석
결과와 논의
사전 분석: 요인분석 가능성 검토
요인 수 결정
한국판 SBSA의 신뢰도
연구 2. 한국판 SBSA의확인적 요인분석과 타당도 검증
방법
연구 대상
측정 도구
자료 분석
결과와 논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판 SBSA의 내적 일치도
수렴 타당도
변별 타당도
종합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저자정보

  • 정민선 Minseon Jeong.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 조용래 Yongrae Cho.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