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아동ㆍ청소년기 대인외상경험이 있는 폭식장애경향 성인 여성을 위한 이미지 재구성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원문정보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Imagery Rescript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for Women with Binge Eating Tendencies, Who Have Had a Traumatic Experi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uring their Childhood and Adolescence

홍채영, 김정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imagery rescripting cognitive-behavioral therapy program for women with binge eating tendencies, who have had a traumatic experi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uring their childhood/adolescence and to compare its effectiveness with that of the traditional cognitive-behavioral therapy program. As research subjects, firstly, women in their 20s and 30s were selected, who met the criteria of five points or higher in the checklist for traumatic experi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88 points or higher in the BULIT-R. Secondly, imager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m, and 21 women were finally selected, and seven women were assigned, respectively, to an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imagery rescripting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 comparison group that received the traditional cognitive-behavioral therapy was conducted and an untreated control group.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alidated through pre-testing, post-testing, and a three-month follow-up.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he food intake motive/behavior induced by negative emotion, a food intake variable, was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of the cognition variables, such as dysfunctional beliefs,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self-esteem, dysfunctional beliefs were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had fewer negative automatic thoughts than the control group did. Self-esteem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Second,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he depression one of emotional variables, such as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depression, state-trait anxiety and state-trait anger were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mparison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tate-trait anxiety and state-trait anger were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ird,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problem-focused coping of stress-coping style which is the behavioral variables and social support pursuit wer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while emotion-alleviation coping were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Fourth, three months after the program was finished, food intake(food intake motive/behavior induced by negative emotions), cognition(dysfunctional beliefs, negative automatic thoughts), emotion(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depression, state-trait anxiety and state-trait anger), and behavior(emotional palliative coping of stress-coping style) variable were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mparison group. On the other side, cognition(self-esteem) and behavior(problem-focused coping of stress-coping style, pursuing social support) variable wer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mparison group.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청소년기 대인외상경험이 있는 폭식장애경향 성인 여성을 위한 이미지 재구성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한 후 전통적인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과 그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인외상경험 체크리스트 5점 이상, BULIT-R 88점 이상의 중복 기준에 해당되는 20∼30대 여성을 1차 선별한 후 2차적으로 심상 면 접을 실시하여 최종 선별된 성인 여성 21명을 이미지 재구성 인지행동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 전통적인 인지행동치료 를 실시한 비교집단 및 무처치 통제집단에 각각 7명씩 배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사전, 사후 및 3개월 추후 검사 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실시 후 섭식 변인인 부정적 정서로 유발된 섭식 동기⋅행동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 변인인 역기능적 신념, 부정적 자동적 사고, 자아존중감 중 역기능적 신념은 실험집단이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낮았고, 부정적 자동적 사고는 실험집단 과 비교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낮았으며 자아존중감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 그램 실시 후 정서 변인인 정서조절곤란, 우울, 상태-특성 불안, 상태-특성 분노 중 우울은 실험집단이 비교집단과 통제 집단에 비해 낮았고, 정서조절곤란, 상태-특성 불안, 상태-특성 분노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 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후 행동 변인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문제중심적 대처와 사회적지지 추구는 실험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높았으며, 정서완화적 대처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 종결 3 개월 후 섭식(부정적 정서로 유발된 섭식 동기⋅행동), 인지(역기능적 신념, 부정적 자동적 사고), 정서(정서조절곤란, 우 울, 상태-특성 불안, 상태-특성 분노), 행동(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정서완화적 대처) 변인은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지(자아존중감), 행동(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문제중심적 대처, 사회적지지 추구) 변인은 실 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프로그램 개발 절차
프로그램 구성
프로그램 운영
자료 분석
결과
실험집단, 비교집단 및 통제집단 간 사전검사비교
실험집단, 비교집단 및 통제집단 간 사후검사비교
실험집단, 비교집단 및 통제집단 내 사전-사후검사 비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추후검사 비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내 사전-사후-추후검사비교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채영 Chaeyoung Hong.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 김정민 Jungmin Kim.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