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권교육에서의 정서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Emotion in Human Rights Education

이선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tarted with a sense of problem in which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education are biased toward cognitive aspects that value reason, and the role in human rights and emotions in human rights education is not properly addressed. Human rights are a Western concept, and power contributes to interests, is symbolic, ambiguous, and even abstract. Human rights education could not lead to an action with a knowledge-based approach under the assumption of popularism and could not pay attention to the contribution of emotions. However, emotions in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education are inevitably deeply involved. When people faced with human rights issues, rights are mobilized by various forms of emotions, resulting in specific emotional consequences. Suffering and human rights are also closely connected to the extent that analyzing suffering caused by human rights violations and their pain can be a major task in human rights history. So I suggest an alternative affective pedagogy of human rights education. It was revised Hung’s affective pedagogy to overcome limitation of Rorty’s sentimental education. The alternative affective pedagogy of human right education emphasizes the principle of mutual vulnerability, the pedagogical principle of discomfort, and the value of empathy that have been neglected so far. And I suggest goal, curriculum and the principle of implementation of alternative affective pedagogy of human rights educ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인권과 인권교육이 이성을 중시하고 주지주의적 가정에 치우쳐 인권과 인권교육에서 정 서의 역할은 제대로 다루지 못하고 있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인권은 서구적 개념이며 열강의 이 익에 이바지하며, 상징적이고 모호하며 추상적이기까지 하다. 인권교육은 주지주의적 가정하에 지식 중심 접근으로 행위로 연결되지도 못하고 정서의 기여를 주목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인권과 인권교육 에서의 정서는 필연적으로 깊이 관여된다. 인권 문제에 직면했을 때 다양한 형태의 정서에 의해 권리 가 동원되며 그 결과 특정 정서적 결과를 낳게 된다. 인권침해로 인한 고통과 그 고통을 분석하는 것 이 인권 역사의 주요 과제일 수 있을 정도로 고통과 인권도 긴밀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제안한 Rorty의 감성교육과 그 한계, 이를 극복하기 위한 Zembylas의 제안을 적용하여 Hung이 체 계를 세운 정의적 교수법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것이 바로 대안적인 정의적 교수법이다. 대안적 정 의적 교수법에는 기존의 정의적 교수법에서 소홀히 했던 상호취약성의 원리와 불편함의 교육학적 원 리, 공감의 가치를 강조하여 구성하고 실행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다시 생각해 보는 인권과 인권교육
Ⅲ. 정서에 기반한 인권과 인권교육
Ⅳ. 인권교육의 대안적인 정의적 교수법
Ⅴ.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선영 Lee, Sun Young. 서울신정초등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