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간호

복부수술 환자의 조기운동에 대한 외과병동 간호사의 중요도-수행도 분석

원문정보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bout Early Mobilization after Abdominal Surgery Patients in Surgical Ward Nurses

김보은, 최혜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surgical ward nurses' importance-performance awareness toward early mobilization after abdominal surgery patients. The date were collected from 162 nurses a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rly mobilization were analyzed by the IPA metho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5.0 by implement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and ANOVA. Early mobilization was divided into exercise of pulmonary complications and early ambul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reas requiring concentration were 'check risk of aspiration', and areas requiring improvement were 'oral care', 'check lung sound', 'percussion/vibration', 'suction', and 'reinforcement exercise in bed'. Therefore, each item of early mobilization is recommended to reduce the ga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clinical care.

한국어

본 연구는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통해 복부수술 환자의 조기운동에 대한 외과병동 간호사의 중요도 인식 및 수행 정도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외과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62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설문지를 이용 하여 2021년 3월 8일부터 22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중요도와 수행도는 IPA분석 기법을 사용하였 다. 조기운동은 폐합병증 예방운동과 조기이상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집중이 필요한 영역은 흡인위험성 확인, 개선 이 필요한 영역은 구강간호, 호흡음 청진, 진동/타진, 필요시 흡인, 강화운동 영역이었다. 따라서 임상에서 조기운동의 중요도 및 수행도의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겠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자료수집 및 윤리적고려
2.5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복부수술 환자의 조기운동에 대한 대상자의 경험과 교육 관련 특성
3.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중요도-수행도 인식
3.4 복부수술 환자의 조기운동에 대한 대상자의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 비교
3.5 IPA 분석을 통한 대상자의 인식 비교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보은 Bo Eun Kim. 서울아산병원 간호사
  • 최혜란 Hye-Ran Choi. 울산대학교 임상전문간호학 임상간호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