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job suitability and self-efficacy on the job enthusiasm of public officials to enhance the governmen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goal achievement, and to examine what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have. As the subject and method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48 civil servants from three cities (P, U, Y) in Gyeonggi-do,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used for the collected surveys. As a result of the study, organizational suitability of public officials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enthusiasm, and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organizational suitability and job enthusiasm. In the case of job suitability, job enthusiasm was not significant, and self-efficacy had a fully mediated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dministrative and policy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enthusiasm for the job of front-line civil servants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were presented.
한국어
본 연구는 정부의 조직성과와 목적달성을 제고하고자 공무원의 직무열의에 있어 개인-조직/직무적합성, 자기효 능감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며, 자기효능감이 어떤 매개효과를 가지는 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과 방법 으로는 경기도 3개의 시(P, U, Y시)의 공무원 2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조사에 대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공무원의 개인-조직적합성이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기효능감은 개인 조직적합성과 직무열의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직무적합성의 경우에는 직 무열의에 유의하지 않았으며, 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행정조직의 일선 공무원에 대한 직무열의를 제고하는 행정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2.1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
2.2 직무열의와 개인-직무/조직적합성
2.3 자기효능감의 개인-조직/직무적합성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3.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3.2 연구대상
3.3 측정도구 및 변수
3.4 자료분석
4. 연구결과
4.1 기술통계 분석 결과
4.2 개인-조직적합성, 개인-직무적합성, 조직몰입과 직무열의의 관계
4.3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
4.4 개인-조직적합성, 개인-직무적합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5.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