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As the low fertility intensifies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the government’s low fertility policy and public perception of it. To this end, we selected four times ‘Aging Society and Population Policy’ documents and news comments for two weeks immediately after announcement of the third and fourth Policy as analysis targets. Then we conducted word frequency analysis, co-occurrence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es, first, direct childcare support during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and a social structural approach during third and fourth periods were noticeable. Second, it was revealed that both policies and comments aim for the work-family compatibility in ‘parenting’. Lastly it was showed public interest in environment of raising children and the critical mind to effectiveness of the poli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public perception using big data analysis, and it will help improve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low fertility policy.
한국어
한국의 저출산 심화에 따라 본 연구는 정부의 저출산 대응정책과 그에 대한 대중인식을 비교하여 근본적인 차이 점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네 차례의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과 제3·4차 기본계획 발표 직후 2주간의 뉴스 댓글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빈도분석, 동시출현단어 분석,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책문서 빈도분석 결과 제1·2차 시기는 직접적인 보육지원이, 제3·4차 시기부터는 사회구조적인 접근이 눈에 띄었다. 동시출현단어 분석 에서는 정책과 댓글 모두 ‘육아’에서 일과 가정의 양립을 지향하였다. ‘결혼’과 ‘출산’의 경우 댓글은 연속성, 정책은 단절성이 두드러지며 특히 주거와 고용문제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댓글의 구조적 등위성 분석 결과에서는 대중들의 자녀 양육환경에 대한 관심, 정책 실효성에 대한 문제의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대중들의 인식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므로, 이에 근거한 정책 개선 등 향후 저출산 대응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수립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2.1 저출산 정책
2.2 저출산 정책 관련 연구
3. 연구방법
3.1 분석방법
3.2 자료수집
4. 분석결과
4.1 빈도분석
4.2 동시출현단어 빈도분석
4.3 구조적 등위성(CONCOR) 분석
5. 결론
5.1 연구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5.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REFERENCES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