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진단검사 전 처치로 실시하는 의식하 진정요법에 대한 환아 보호자의 인식도와 간호요구도, 간호만족도

원문정보

Awareness, Nursing Needs, and Nursing Satisfaction on Conscious Sedation as a Pretreatment for Diagnostic Tests in the Guardians of Hospitalized Children

서미희, 박순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nursing needs, and nursing satisfaction of conscious sedation, and their relationships in the guardians of hospitalized children receiving conscious sed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120 guardians of children who were admitted to the pediatric ward of University Hospital C in D city from July 6 to October 6, 2016 and received conscious sedation as a pretreatment for diagnostic tes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guardians' awareness was relatively low (2.49±0.83) and nursing needs (4.53±0.40)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nursing satisfaction (3.81±0.56)(p<.001). Awaren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satisfaction (r=.18, p=.048)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needs and satisfaction (r=.20, p=.033). This result suggest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nursing satisfaction of the guardian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wareness and nursing needs of the guardians on conscious sedation.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nursing intervention should be carried out based on the awareness and nursing needs.

한국어

본 연구는 환아 보호자를 대상으로 진단검사 전 처치로 실시하는 의식하 진정요법에 대한 인식도와 간호 요구도, 간호만족도를 확인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시에 있는 C대학병원 소아청소년과 병동에 입원하여 진단검사 전 처치로 의식하 진정요법을 받는 환아의 보호자 120명이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의식하 진정요법에 대한 인식도는 비교적 낮은 편이었고(2.49±0.83), 간호요구도(4.53±0.40) 가 간호만족도(3.81±0.56)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의식하 진정요법에 대한 인식도는 간호만족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r=.18, p=.048), 간호요구도와 간호만족도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r=.20, p=.033). 의식하 진정요법에 대한 대상자의 간호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의식하 진정요법에 대한 인식 정도와 간호요구 영역들을 먼저 확인하여 대상자의 요구를 기반으로 하는 맞춤형 간호중재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및 대상
2.2 연구 도구
2.3 자료수집 및 연구의 윤리적 고려
2.4 자료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의식하 진정요법에 대한 인식도와 간호요구도, 간호만족도
3.3 대상자의 의식하 진정요법에 대한 간호요구도와 간호만족도의 차이
3.4 의식하 진정요법에 대한 인식도, 간호요구도, 간호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서미희 Mi Hee Seo.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간호사
  • 박순주 Soonjoo Park.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