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with disabled people and their families to understand the unmet healthcare needs perceived themselves and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The 2nd pilot project for primary c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rom 9 to 17 February 2021. The subjects of the study was the disabled who can express their opinions (group 1) or the guardians of the subjects who can not express their opinions (group 2).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for about 100 minutes for each group once or twic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actors regarding unmet healthcare needs were extracted in subject, provider, institutional, and socio-cultural aspects. Further, the factors resolved and unresolved by the pilot project were extracted. Based on the results, we can recommend that the expanded application to the visiting service, inclusion of doctors from various departments,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cluding physical or occupational therapists, minimizing disconnection among the hospitals and healthcare centers,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by collecting opinions from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more publicity activities should be applied.
한국어
본 연구는 장애인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2021년 2월 9일부터 2월 17일까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장애인이 인식하는 미충족 의료와, 장애인 건강주치의 2차 시범사업 관련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포커스그룹 인터뷰는 시범 사업에 등록하였으며 의사표현이 가능한 장애인 5인(그룹 1)과 의사표현이 불가능한 장애인의 보호자 5인(그룹 2)으로 구성되는 두 그룹에 대해 실시하였고, 각 그룹 당 약 100분의 면담을 1회 진행하였다.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와 관련된 요인은 의료서비스 이용자, 의료서비스 공급자, 제도적,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도출되었고, 이 중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참여를 통해 충족된 요인과 충족되지 않은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를 해결하기 위해 방문서비스 확대 적용, 다양한 진료과로 주치의 범위를 확대, 물리치료사나 작업치료사 등을 포함한 다학제적 접근, 서비스 단절 최소화를 위해 병원간 연계 활성화, 장애인 당사자 의견수렴을 통한 서비스 개선, 적극적인 홍보를 통한 본사업의 확대 적용이 필요하겠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2.1 연구대상
2.2 인터뷰 수행 절차
2.3 자료 분석
2.4 윤리적 고려
3. 연구 결과
3.1 의료서비스 이용자 측면
3.2 의료서비스 공급자 측면
3.3 제도적 측면
3.4 사회/문화적 측면
3.5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참여 경험
4. 논의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