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Effects of Coffee Shop Servicescapes on Relational Benefit and Revisit Intention

원문정보

커피전문점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관계혜택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Seon-Hee Ko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study model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y theoretical review to understand the impacts of servicescapes on relational benefits and revisit intention in the subjects of users in the franchise coffee shop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servicescape was classified with three elements including facility attractiveness, service attractiveness, and cleanness,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cility attractiveness(H1-1) and service attractiveness(H1-2) among servicescapes of coffee shops showed the significant impact on relational benefits, adopting Hypothesis 1-1 and H 1-2. On the other hand, cleanness among the servicescapes did not show any impact on relational benefits. Second, hypothesis 2 that relational benefits will significantly affect the revisit intention, positively was adopted. This means revisit potential will be enhanced more as the workers generate the comfort with special services and informal conversation more. It implicates that trust on the shops, psychological comfort, and consideration to the customers are important factors to induce their revisit. Finally, facility attractiveness and service attractiveness among servicescapes showed to affect he revisit intention significantly, while cleanness did not show that, partially adopting hypothesis 3.

한국어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 이용객을 대상으로 서비스스케이프가 관계혜택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보고자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서비스 스케이프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시설 매력성, 서비스 매력성, 청결성의 3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변수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먼저 커피전문점의 서비스스케이프 중 시설매력성(가설 1-1)과 서비스 매력성(가설 1-2)은 관계혜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채택되었다. 반면 서비스스케이프 중 청결성은 관계혜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기각되었다(가설 1-3). 둘째 관계혜택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는 가설 2 는 채택되었다. 즉 직원이 편안함을 주고 특별서비스를 제공하며, 격이 없는 대화를 해줄수록 해당 매장을 다시 방문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매장에 대한 믿음, 심리적인 안정감, 고객에 대한 고려와 같은 관계혜택이 고객의 재방문을 유도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스케이프 중 시설의 매력성과 서비스매력성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청결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3은 부분 채택 되었다.

목차

Abstract
요약
1. Introduction
2. Study Design
2.1 Data collection and methods
2.2 Measuring variables
3. Empirical Analysis
3.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3.2 Reliability and Validity of Variables
3.3 Analy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4. Conclusion
REFERENCES

저자정보

  • Seon-Hee Ko 고선희. Professor, Department of Airline Service, Seowon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