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Correlation of Traffic Demand according to the COVID-19 Indicator
초록
영어
In January 2020, the first COVID-19 confirmed patient occurred in Korea, and the pandemic continues to this day. In unprecedented situations, COVID-19 also affected the transportation sector, and there were no appropriate measures against changes in traffic volume and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due to changes in citizens' lifestyles. Currently, each local government has not established separate measures for pandemic disease measures. In order to establish future disease countermeasures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a predictive model was developed by analyzing the traffic volume and the number of public transportation uses, and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current status of COVID-19.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raffic volume decreased, but the traffic volume de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personal transportation, but it did not reach the number of public transportation uses.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was initially affected by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but over time, it was more sensitive to death and mortality than to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한국어
코로나 19가 국내에서 2020년 1월 첫 확진자가 발생하며 현재까지 pandemic 상황이 지속하 고 있다. 전례 없는 상황에 코로나 19는 교통 분야에도 영향을 끼쳤으며 시민들의 생활패턴 변화로 교통량의 변화 및 대중교통 이용변화에 적절한 대응 방안이 존재하지 않았다. 현재 각 지자체에서는 pandemic 상황에 대한 질병 대책 방안은 별도로 수립하고 있지 않다. 향후 교통 분야 질병 대책 방안 수립을 위해 교통량 및 대중교통 이용 건수를 분석하였으며 예측모형 개 발을 위해 코로나 19 현황과 상관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교통량은 감소하였지만 개 인 교통수단의 증가로 교통량 감소량은 대중교통 이용 건수에 비해 감소율이 낮다. 또한 대중 교통 이용 현황은 초기에는 확진자 수에 영향을 받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확진자 수 보다 는 사망자 수와 치명률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ABSTRACT
Ⅰ. 연구개요
1. 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
Ⅱ. 현황 및 이론적 고찰
1. 코로나 19 확진자 및 거리 두기 현황
2. 관련연구 고찰
Ⅲ. 교통수단 이용현황 및 상관도 분석
1. 코로나 19 상황속 서울시 교통량 변화
Ⅳ. 결론 및 향후 연구 과제
ACKNOWLEDGEMENTS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