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A Study of Gen MZers’ Vinyl LP Collecting and Purchasing Experience

원문정보

MZ세대의 바이닐(Long-Playing Record) 수집 및 구매 경험에 관한 연구

Kim, Jae Myon, WoongJo Chang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vinyl collection craze among members of Gen MZ (20 to 30 year old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ir experiences, motivations, and interactions with other collectors and buyers. The Gen MZers who are driving the vinyl phenomenon did not grow up with vinyl records so why are they so enthusiastic about a retro media? We analyze research on cultural product consumption patterns and our field data and use grounded theory to apprehend the experiential world of Gen MZ vinyl record collectors through individual and focus group interviews and participant action research. Our goal is to gain insight into how their vinyl collecting, purchasing, and product creation activities affords them satisfaction, builds cultural capital, and contributes to shaping this moment in popular culture. In general, we found that the vinyl collecting craze among Gen MZers is driven by several factors, notably a strong sense of dissatisfaction with popular culture and the typically passive consumption of its products, coupled with the sense of fulfillment the collectors get from developing the specialized and exclusive knowledge that builds cultural capital. These factors intersect with certain distinctive personality traits of collectors, expressed in their impulse to establish themselves as uniquely discerning arbiters of musical taste and value, to produce a typically nostalgic trajectory through the world of collecting and consuming yesterday’s commercial audio technology.

한국어

본 연구는 MZ 세대의 바이닐 수집 경험과 동기를 여타 수집가 혹은 구매자와의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톺아본다. 최근의 바이닐 혹은 LP 대유행의 배경에는 20대와 30대로 형성되어 있는 MZ세대의 열광이 전제되어 있다. 바이닐 을 실제 음악청취의 매체로 사용해보지 못한 MZ세대가 이러한 복고주의적 성향을 강하게 띠는 과거의 레트로 아이 템에 열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근거이론적 접근을 채택한다. 우선 문화상품 소비패턴에 대한 선행연구를 진행한 후, 개별 및 그룹 인터뷰와 참여자 행동 연구에서 수집된 현장 데이터 분석을 근거로 MZ세대의 바이닐 레코드 수집 과정과 경험 세계를 파악한다. 그 과정 속에서 바이닐 수집, 구매, 상품창조 활동이 어떻게 그들 스스로에게 만족감을 주며, 이것이 어떻게 문화 자본으로 구축되어 가는지, 궁극적으로 MZ세대 의 바이닐 수집 과정과 경험이 현재의 대중문화 맥락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본다. 연구 결과, MZ세대의 바 이닐 수집 열풍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바이닐과 같은 레트로에 대한 MZ세대의 열광의 배경에는 기 존대중문화에 대한 강한 불만이 있다. 둘째, 이들은 수동적으로 상품을 소비해오던 기존의 전형적 소비자 역할에서 벗어나 문화 자본을 만드는 전문적이고 배타적인 문화적 역량을 개발함으로써 성취감을 얻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 지막으로 이들은 바이닐 문화와 대중문화를 잇는 중재자로서의 독자적 역할을 스스로 도맡음으로써 자신들이 추구하 는 음악적 가치를 드러내고 있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옛 것에 대한 취향을 키우고 있었다.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1. Vinyl
2. Nostalgia
3. Retro
Ⅲ. Research Design
Ⅳ. Findings and discussion
1. Concepts revealed during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purchasing vinyls
2. Motivation for purchase
3. Disruption of tastes exchanges between generation
4. Distinction from others
5. Promoting sense of accomplishment
6. Prosumerization /Fandomization
7. Ongoing Research
Ⅴ. Toward a Grounded Theory for the Gen MZ Experience of Vinyl Collecting and Creation
Ⅵ. Conclusion
REFERENCES
국문 초록

저자정보

  • Kim, Jae Myon 김재면. Assistant Manager, Ruby Records
  • WoongJo Chang 장웅조.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Arts and Cultural Management, Hongik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