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이미지 분석을 통한 매우 유사한 증도가(證道歌) 이본(異本)에 대한 비교연구 - 보물 제758-1호와 보물 제758-2호의 근본적인 차이점 -

원문정보

Comparative Study on Very Similar Jeungdoga Scripts through Image Analysis -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reasure No. 758-1 and Treasure No. 758-2 -

유우식, 김정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hotographic images of the Samseong-version (三省本: Korea’s Treasure No. 758-1) and the Gongin-version (空印本: Korea’s Treasure No. 758-2) of Nammyeongcheon Hwasangsong Jeungdoga (南明泉和尙頌證道歌: Nanmingquan Song Zhengdaoge)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versions. According to a report in 2012 at the time of the designation of the Gongin-version as Korea’s treasure, both versions were printed from the same woodblocks. The Gongin-version is presumed to be a later print than the Samseong-version. The two versions are very similar in format and shape of border lines and characters.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with the naked eye, even for experts. In this study, based on the printing characteristics observed from each version through image analysis, useful evidence to determine whether it was printed using the same or different woodblocks and the order of printing was collected. As a result of careful image comparison and analysis, we concluded that the Samseong- and the Gongin-version were printed from different woodblocks, or possibly different typesetting. It was difficult to agree with the content of the report that the Gongin-version was a later print than the Samseong-version. In addition, it was noted that the Gongin-version print has characteristics quite different from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woodblock printing seen in the Samseong-version. Additional investigations and follow-up studies on the printing technology used for Gongin-version print and the timing of printing are recommended.

한국어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의 삼성본(三省本: 보 물 제 758-1호)과 공인본(空印本: 보물 제758-2호)의 사진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두 판본 간의 차이점을 조사하였다. 공인본의 보물지정 당시인 2012년의 보고서에 따르면 두 개의 판본은 모두 같은 판에서 인출된 것이며 공인본이 삼성본보다 후쇄본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두 개의 판본은 구성, 광곽의 형태, 글자체에 이르기까지 매우 유사하여 육안에 의한 확인만으로는 그 차이를 구별하기 쉽지 않아 전문가들의 주관적의 의견을 수렴하여 결론을 도출한 것으로 추정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판본상에 나타난 인쇄특징을 바탕으로 인출 시기의 전후관계 및 동일한 판에서 인쇄된 것인지 아니면 서로 다른 판에서 인쇄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면밀한 이미지 비교와 분석의 결과, 삼성본과 공인본은 서로 다른 판에서 인출된 것이며 인출시기도 공인본이 삼성본에 비해서 후쇄본이라 는 보고서의 내용도 수긍하기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또한 삼성본에서 볼 수 있는 목판 인쇄의 특징과는 사뭇 다른 특징들이 관찰되어 공인본의 인출에 사용된 인쇄기술 및 인출시기 에 관한 추가조사 및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3. 공인본과 삼성본의 이미지 비교
3.1. 첫 인쇄면의 이미지 비교
3.2. 마지막 인쇄면의 이미지 비교
3.3. 첫 인쇄면의 묵흔의 채색, 분리, 이미지 겹침을 통한 비교
3.4. 판본 간 이미지 비교를 통한 인쇄시기의 전후관계추정
3.5. 판본 간 이미지 비교를 통한 동일 판본사용여부의 조사
4.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유우식 Woo Sik Yoo. 웨이퍼마스터스,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 김정곤 Jung Gon Kim. 웨이퍼마스터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