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 및 석조여래입상의 재질특성과 손상특성 연구

원문정보

Study on the Material and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Seated Buddha Triad and Stone Standing Buddha in Bijung-ri, Cheongju, Korea

유지현, 최명주, 이명성, 김유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one Seated Buddha Triad and Stone Standing Buddha in Bijung-ri are state-designated heritage (treasure) statues having the Buddha style of the Goryeo dynasty from the 6th century. Conservation scientific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reservation status of these stone Buddha statues and to establish a conservation plan. The Stone Seated Buddha Triad and Stone Standing Buddha are composed of fine-medium grained biotite granite, which is considered to be of the same origin owing to their low magnetic susceptibility distribution of less than 0.2 (×10-3 SI unit) and similar mineral characteristics. The Stone Seated Buddha Triad has highly homogenous mineral composition and particle size, whole-rock magnetic susceptibility,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very similar to those of the nearby outcrop. It was confirmed that a combination of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factors affects the Stone Buddha statues. In particular, both the Stone Seated Buddha Triad and Stone Standing Buddha tend to be chipped off from the front and cracked and scaled from the back. The Stone Standing Buddha located outdoors experiences granularity decomposition and black algae formation, which accelerate the weathering under unfavorable conservation environments. The result of non-destructive physical property diagnosis using ultrasonic velocity showed that both the Stone Seated Buddha Triad and Stone Standing Buddha have been completely weathered (CW), indicating very poor physical properties.

한국어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 및 석조여래입상은 6세기 고구려 불상의 양식을 갖춘 중요 한 국가지정문화재(보물)이다. 이들 석불상의 보존현황 파악 및 보존계획 수립을 위해 보존과 학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석조여래삼존상 및 석조여래입상의 구성암석은 세립 내지 중립의 전 형적인 흑운모화강암으로, 0.2(x10-3 SI unit) 미만의 낮은 대자율 분포, 구성광물에서 서로 유사 한 특성을 보여 동일한 기원의 암석으로 판단된다. 석조여래삼존상은 인근 노두의 암석과 광물 조성 및 입도, 전암대자율, 지구화학적 특성이 매우 유사하였으므로 성인적 동질성이 높은 것으 로 해석된다. 한편 비중리 석조불상에서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 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석조여래삼존상과 여래입상 모두 전면에서 탈락이, 후면에서 균열과 박리박락이 우세한 경향을 보였다. 야외에 위치한 석조여래입상에서는 입상분해와 흑 색조류가 발달하여 열악한 보존환경과 함께 풍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초음파속도를 이용한 비 파괴 물성진단 결과, 석조여래삼존상과 여래입상의 풍화등급은 완전 풍화된 상태(CW)로 나타 나 매우 낮은 물성을 지시하였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방법
3. 암석학적 특성 및 동질성 해석
3.1. 암석학적 특성
3.2. 석불상 및 추정산지 암석의 동질성 해석
4. 손상도 평가
4.1. 유형별 표면손상
4.2. 박리부 검출
4.3. 손상지도 작성 및 손상율 산출
4.4. 초음파 물성진단
5.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유지현 Ji Hyun Yoo.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최명주 Myoungju Choie.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이명성 Myeong Seong Lee.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김유리 Yuri Kim.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