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내부 미세변위 정밀모니터링을 위한 디지털 기록화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Digital Documentation of Precise Monitoring for Microscale Displacements within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the Royal Tombs in Gongju, Korea

최일규, 양혜리, 이찬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tomb complex of the royal family from the period of the Ungjin Baekje Kingdom (475 to 538 AD) in Gongju, Korea, contains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other royal tombs. After the excavation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in 1971, these tombs were opened up to the public, without the establishment of systems for their safety, conservation and management. The tombs have consequently experienced rapid environmental changes and suffered various damages. In this study, specific vulnerable parts inside the tombs were selected for deviation analysis using 3D scanning, and 3D image models were constructed on this basis. Progressive displacement was identified in tomb No. 5, and basic data for future investigations was acquired from tomb No. 6 and the tomb of King Muryeong. In the deviation analysis for the southern plastered wall of tomb No. 5, the damage was not found to exceed the ranges of ±18 mm and ±2 mm. However, the lintel stone was found to be sagging by 0.32 mm on averag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walls to have increased by 0.36 mm on average. Direct water seepage occurring in tomb No. 5 is considered to be increasing the damage within the tomb, such as the dropping and sagging of the lintel. The 3D image models constructed in this stud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as baseline data for future research, and can be used to discuss a secure conservation scheme for the tombs through cross-validation with precise measurement monitoring.

한국어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은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웅진백제시대(AD 475∼538) 왕족의 고분군이다. 1971년 무령왕릉 발굴 이후 안전한 보존관리 체계 없이 공개됨에 따라 급격한 환 경변화를 겪으며 고분 내부에 다양한 손상이 발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왕릉원의 미시적 변위 분석을 위해 각 고분 내부에 취약부를 선정하여 3차원 정밀스캐닝을 바탕으로 디지털 형상정보 를 구축하였다. 5호분에서는 진행성 변위를 검출하였으며, 6호분과 무령왕릉은 향후 모니터링 을 위한 기초자료를 획득하였다. 특히 5호분 남측 회벽의 편차분석 결과, 공차범위 ±18 mm와 ±2 mm에서 추가 손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인방석은 평균 0.32 mm의 처짐이 발생하였 고, 벽체 사이의 거리는 평균 0.36 mm가 증가하였다. 5호분 내부는 직접적인 누수가 있어 탈락 과 처짐거동 등 손상을 가중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에서 획득한 3차원 형상정보는 계속 연구를 위한 자료로 중요한 기준이 되며, 정밀 계측모니터링과 교차검증을 거쳐 왕릉원의 안정 적 보존방안을 검토하는 데 활용할 것이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언
2. 디지털 모니터링 및 연구방법
2.1. 모니터링 위치 선정
2.2. 연구방법
3. 결과 및 해석
3.1. 형상정보 구축
3.2. 변위분석
3.3. 거동특성 분석
4. 보존과학적 고찰
5. 결언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최일규 Il Kyu Choi.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양혜리 Hye Ri Yang.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찬희 Chan Hee Lee.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