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역사교과서의 국수적 한국사 체계와 역사정책 성찰

원문정보

Nationalistic Korean History Structure and Curriculum in History Textbooks

이정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aims at examining the Korean history structure in current history textbooks and tracing its genealogy,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ancient history structure. Current history textbooks divide Korean history into 「ancient history - medieval history - modern history - contemporary history」 without exception, and shares the ancient history structure of 「Gojoseon - multiple states - Three Kingdoms – Northern and Southern States」. Among them, “Gojoseonmultiple states” is described as a structure of succession. In other words, Gojoseon in the Bronze Age was inherited by various states in the Iron Age. This, however, excludes the formation of various states in the Bronze Age and social change in various ways, and selectively highlights the history of Gojoseon in particular. In other words, it is a national narrative of a single nationthat started from Gojoseon. In this regard, this article considers that the Korean history structure of current history textbooks has a nationalistic character. Since Korean history structure started from Gojoseon was formed betwee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it is a historical product produced after the Middle Ages. However, the structure of Korean history and ancient history in the Middle Ages was centered on the genealogy of the dynasty, and it is an important difference from the modern period, which centered on the nation. Nevertheless, they both share a genealogical perception in that they regard Dangun and Gojoseon as the origins of Korean history and emphasize their genealogy. The historicity of the nation was once considered in research and education after liberation. However, since the 1970s, the internal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was emphasized. For that reason, the time of formation of nation was advanced, the originality was emphasized, and Korean history structure premised on the formation of the nation was designed. The nationalistic character of the Korean history structure was strengthened. The nationalistic Korean history structure in the current history textbooks is maintained by the curriculum. However, nationalistic character needs to be avoided and the gap between research and education needs to be narrowed. Therefore, supplementation or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is requested. A pluralistic understanding of the ancient society should be pursued. This article expects various perspectives not only in the description of history textbooks but also in the composition of the Korean history structure.

한국어

현행 역사교과서의 한국사 체계를 검토하고 그 계보를 추적하였다. 특히 고대사 체계에 주목하였다. 현행 역사교과서는 「고대사-중세사-근대사-현대 사」의 시대구분 속에서 「고조선-여러 나라-삼국-남북국」의 고대사 체계를 공 유하고 있다. 이 중에서 고조선과 여러 나라는 선후 계통으로 설명된다. 청동 기시대 고조선을 철기시대의 여러 나라가 계승하였다고 하였다. 청동기시대 여러 나라의 국가형성과 다양한 경로의 사회변화를 배제하고 고조선을 선택 적으로 부각한 것이다. 고조선에서 시작한 단일민족의 민족서사이다. 국수적 한국사 체계로 생각한다. 고조선에서 시작하는 한국사 체계는 고려 후기~조 선 전기에 형성되었다. 중세 이후의 역사적 산물이었다. 근대의 한국사 체계 는 왕조에서 민족으로 주체가 변화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군과 고조선 을 한국사의 시원으로 여기고 그의 계통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계보적인 인식을 계승했다. 해방 전후 연구와 교육에서 민족의 역사성이 고려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1970년대 이후 한국사의 내적 발전이 강조되며 민족을 전제한 한 국사 체계가 구축되었다. 국수성이 강화된 것이다. 현행 역사교과서의 국수 적 한국사 체계는 교육과정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국수성을 지양하고 연구 와 교육의 간극을 좁힐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의 보완 내지 개선이 요청된다. 다원적인 고대 사회 이해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만 아니라 각종 역사정책에서 유념해야 할 사항으로 생각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현행 역사교과서의 한국사 체계와 민족서사
Ⅲ. 국수적 한국사 체계의 계보와 계보적 인식
Ⅳ. 원초적 민족 이해의 고착과 현행 교육과정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이정빈 Lee, Jeong-Bin. 충북대학교 역사교육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