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일제하 연천지역의 민족운동(1920~1945)

원문정보

National Movement in the Yeoncheon Region under Japanese Imperialism

조성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national movement in the Yeoncheon region under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movement in Yeoncheon are summarized into four major categories: First, the national movement in the Yeoncheon region became the center of the voluntary struggle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and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centered on the movement to establish modern schools was also developed. It is presumed to be a Heungrip school established around 1899 using the property of the Hyanggyo. In Gorangpo, Lee Dong-Hwi established a branch of Bochang School to provide modern education. Second,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was relatively active. In the Yeoncheon region's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not only individuals in Yeoncheon region, but also the families of the same clan or clan are collectively participating in the movement, therefore, in the future, data collection and research on rural communities in the Yeoncheon region are needed in various fields. Third, in that the central figures and activity area of the national movement developed in the Yeoncheon region are closely related to the Methodist Church in the Yeoncheon region, research on the activities of Methodist Church in Yeoncheon is essential. In other words, it is judged that more in-depth research is needed on the activities of the Yeoncheon Ebwit Youth Association, Lee San Youth Association, Yeoncheon Chapel, and Jeongok-ri Chapel. Fourth, it seems that the national movement or social movement in Yeoncheon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theory of ability fostering. Moreover, not only did the Lee San Youth Association have a department called the religious department, but the activities of youth groups organized in various places did not deviate from this category. In particular, after the early 1920s, it was common for so-called change of direction, such as the emergence of socialist youth groups or peasant groups in other regions. However, such a trend was not seen in the Yeoncheon region, and the ability fostering ideological movement was still developing until the late 1920s or early 1930s. In particular, the relatively active development of the Bnarod movement is a representative example. Moreover, considering that the Chunghwa Boys Scouts organized by Hong Hyun-Sang in Hyeongari, Gunnae-myeon, had the prospect of developing into a youth group, and Hong Hyun-Sang was a cooperative figure in the ruling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 possibility cannot be ruled out that it is rather a controlled boy scout. This can be said to show the possibility that youth groups and boys groups in the Yeoncheon region had been changed to a cooperative direction with the system in the course of the Joseon Government-General's rural promotion movement since the end of the 1920s. In conclusion, the national movement in the Yeoncheon region was developed as an ability fostering movement of the right wing of nationalism centered on the Methodist Church. As a result, it seems that not only the Youth Association, the Youth League, and the Farmers' Union, but also the national cooperation front of the 'socialist and nationalist left', that is, the Shinganhoe, could not be organized in the Yeoncheon region. This is a rare case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national movement. This is the reason why research based on the regional, ideologic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Yeoncheon region is necessary in the future.

한국어

본고는 일제하 연천지역 민족운동을 고찰한 것으로 연천지역 민족운동의 특징을 크게 네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는 연천지역의 민족운동은 한말 의병투쟁이 중심이 되었으며, 근대학교 설립운동을 중심으로 한 애국계몽운동도 함께 전개되었다. 1899년 경에 향교 재산을 이용하여 설립한 흥립학교로 추정된다. 그리고 고랑포에는 이동휘가 보창학교 지교를 설립하여 근대교육을 실시하였다. 특히 고랑포 보창학교는 강화 보창학교와 마찬가지로 병식체조를 통한 군사훈련을 실시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둘째는 국채보상운동도 비교적 활발히 전개되었다. 연천지역의 국채보상운동은 연천지역 내의 개인뿐만 아니라 종중이나 문중이 집단적으로 참여하고 있어 향후 연천지역 향촌사회에 대한 자료 수집과 연구가 다양한 방면에서 필요하다. 셋째는 연천지역에서 전개된 민족운동의 중심인물들과 활동 장소가 연천지역 감리교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연천지역 감리교의 활동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즉 연천지역 엡윗청년회, 이산청년회, 연천예배당과 전곡리예배당의 활동 등에 대해 보다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넷째는 연천지역 민족운동 혹은 사회운동은 실력양성론에 따라 전개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청년단체의 각종 활동이나 조직부서명은 이들이 실력양성론에 입각한 활동을 전개하였음을 보여준다. 더욱이 이산청년회에는 종교부라는 부서까지 존재하였을 뿐만 아니라 각지에서 조직된 청년단체들의 활동 역시 이러한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1920년대 초반을 지나면서 다른 지역에서는 사회주의 청년단체나 농민단체가 출현하여 이른바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었는데 연천지역에서는 그러한 흐름이 보이지 않고 1920년대 말 혹은 1930년대 초까지 여전히 실력양성론적인 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특히 브나로드운동이 비교적 활발히 전개된 것은 대표적인 사례이다. 더욱이 군내면 현가리의 홍현상이 조직한 청화소년단은 청년단으로의 발전 전망을 가지고 있고 홍현상이 조선총독부 지배정책에 협조적인 인물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오히려 관제 소년단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는 연천지역 청년단체나 소년단체가 1920년대 말 이후 조선총독부가 농촌진흥운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체제 협조적인 방향으로 전환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연천지역의 민족운동은 감리교를 중심으로 한 민족주의 우파의 실력양성론적인 운동이 전개되었다. 그로 인해 청년회, 청년동맹, 농민조합은 물론이고 사회주의와 민족주의 좌파의 민족협동전선 즉 신간회조차 연천지역에서는 조직되지 못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한국민족운동사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사례라 할 수 있다. 향후 연천지역의 지역적·사상적·역사적 특성에 입각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라 할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연천지역 민족운동의 성장
Ⅲ. 연천지역 민족운동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조성운 Cho, Seong-Woon. 동국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