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한말~1920년대와 의료 선교사 Mills의 가정위생 인식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Family Hygiene in the Medical Missionary Mills and From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o the 1920s

성주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trie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Home hygiene through 『Maeil Shinbo』 and 『Dong-A Ilbo』 published in 1919. Also 『Ga-jung-we-seang(가뎡위)』 is studied which appeared in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1920s by the Christian medical missionary Mills. From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o the 1920s, Home hygiene did not change much. Basically, prevention of diseases related to food, clothing and shelter occupied a large part. In addition to this, it included menstruation related to the health of women and housewives, precautions related to childbirth and parenting methods. Exceptions include scarlet fever, how to get rid of flies and mosquitoes, and how to disinfect at home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From this perspective, Home hygiene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1920s was dealing the Household hygiene affecting health in relation to food, clothing and shelter, maternal hygiene related to birth such as menstruation, pregnancy, and childbirth, content related to childcare, daily life etc. In contrast, the content of 『Home Hygiene』 published by Mills is rich in medical elements and focuses on prevention. 『Home Hygiene』, published by medical missionary Mills in February 1919, expanded the existing awareness of Home hygiene centered on food, clothing and shelter more medically. He introduces in detail preliminary knowledge and prevention methods for disease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Korean-related diseases such as gastroenteritis, tuberculosis, jaundice, and recurrent fever, and scabies, which were common among Koreans at the time. This can be sai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has dealt with household hygiene centered on food, clothing, and shelter in a more in-depth way. In conclusion, Mills's 『Household Hygiene』 is significant in that it enabled Koreans to understand medically about the epidemics and diseases that were common or prevalent at the time, and based on this, it was important in that it improved awareness about infectious diseases and diseases.

한국어

본고는 한말부터 1920년대 『매일신보』와 『동아일보』에 나타난 가정위생과 기독교 의료 선교사 Mills가 1919년 발행한 『가뎡위』을 통해 가정위생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말부터 1920년대의 가정위생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기본적으로 의식주와 관련되어서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의 예방이 큰 부분을 차지하였다. 여기에 더하여 가정의 중심인 여성이나 주부들의 건강과 관련된 월경, 출산과 해산과 관련된 주의할 일, 그리고 육아법이 포함되었다. 예외적으로 성홍열, 파리와 모기의 퇴치법, 전염병 예방을 위한 가정에서의 소독법 등을 언급하였다. 이로 볼 때 한말부터 1920년대의 가정위생은 첫째 의식주와 관련하여 건강에 미치는 가정 내의 위생, 둘째 월경, 임신, 해산 등 출생과 관련된 부인 위생, 셋째 육아에 관한 내용, 넷째,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상처의 대응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에 비해 Mills가 발행한 『가뎡위』의 가정위생은 보다 의학적 요소가 풍부하고 이를 예방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1919년 2월 의료 선교사 Mills가 발행한 『가뎡위』은 기존의 의식주 중심의 가정위생에 대한 인식을 보다 의학적으로 확장시켰다. 그는 한국인과 관련된 질병 즉 속병(배앓이)으로 알려진 위장병, 해소병으로 알려진 결핵, 파리가 전염원으로 알려진 적리병, 당시 한국인에 많이 유행한 학질과 재귀열병, 그리고 옴 등 질병과 직접 관련이 있는 것에 대한 예비지식과 예방법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이는 그동안 의식주 중심의 가정위생을 한층 깊이 있게 취급하였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Mills의 『가뎡위』은 당시 한국인이 많이 앓거나 유행하는 전염병과 질병에 대해 의학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전염병과 질병에 대한 의식을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한말~1920년대 가정위생의 인식
Ⅲ. Mills의 『가뎡위』 구성과 가정위생 인식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성주현 Sung, Joo-Hyun. 1923 제노사이드 연구소 부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