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Qualitative Study on Virtual Charter School Curriculum
초록
영어
This research examined the curriculum of Online Schools, virtual charter schools which are part of the American public education system. The researcher especially focuses on how teachers actually practice the curriculum of Online Schools. Online Schools is a recent model of alternative education in America. Within the regulations and guidelines of the state, Online Schools run K12 curriculum in a virtual way. Online Schools are categorized as public schools and funded by the state government and monitored by local school district. Due to Covid-19 school lockdown, parents prefer to choose Online Schools’ virtual curriculum rather than that of traditional schools. This new trend is not considered as a temporary pattern of school choices, rather showing an emerging new paradigm for public education. This research examined the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which they have experienced during their online teaching. Through this examination, this research also provides suggestions for the Korean education regarding virtual education. For the research goals, the researcher practices an individual interview with the teachers of Online Schools in a Midwestern state.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online school curriculum were implemented in a rigorous and intensive way. Teachers also struggled to promote mor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also pointed out that the online school curriculum depends on the capacity and willingness of students as well as their parents.
한국어
본 연구는 미국 온라인 공교육을 운영하는 온라인 차터 스쿨 교육과정 운영과정을 면밀히 보여주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자는 교육과정의 실질적 운영자인 교사 들의 시각에서 교육과정의 운영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데 초점을 둔다. 온라인 차 터 스쿨은 미국 대안 교육의 모델 중 하나이다. 온라인 스쿨은 공교육 제도 안에서 주 (state) 교육과정의 가이드라인에 맞게 교육과정을 비대면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공립 교육기관으로 법적 지위를 인정받고 있다. 최근 Covid-19로 인해 미국 내에서 기존의 공립학교의 비대면 수업보다 온라인 스쿨의 비대면 수업을 선호하는 현상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연구자는 이와 같은 현상이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새로운 교육적 패 러다임의 전환의 일부로 보고 이를 심도 있게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온라인 스 쿨 소속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 국내 비대면 수업의 다양한 가능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2020년 3월부터 2020년 9월까지 미국의 중서부 지역의 온라인 스쿨 소속 미국 교사들 을 대상으로 이들의 인식과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스쿨 교육과정은 일 반 공립학교보다 더욱 엄밀하게 진행되고 있었으며, 교사들은 비대면 수업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었다. 그러나 비대면 수업 은 학생들과 학부모의 개별적 역량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가져오는 문제점 역시 배제 하기 힘들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부결과를 중심으로 국내 온라인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원격 교육으로서 온라인 스쿨
2. 대안 교육으로서 온라인 스쿨
Ⅲ. 연구 방법
1. 연구절차
2. 자료분석
Ⅳ. 연구 결과
1. 구조화된 유연성
2. 상호작용 극대화
3. 제도적 한계
V.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