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Accultural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Migrant Workers by Countr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differences of acculturative stress,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of migrant workers from China, Vietnam, Sri Lanka, and Former Soviet Union countries were and the mediated relationships between their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were based on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nationality. From the study, there are several significant results. Migrant workers from China had higher stress than others in 4 different sub-variables of acculturative stress. Migrant workers from Former Soviet Union countries had higher culture shock than others. The acculturative stress of migrant workers from China and Vietna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Korean language levels. The acculturative stress of migrant workers from China and the Former Soviet Union countries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educational levels. Migrant workers from Sri Lanka were not found any different based on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owever, their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others and they perceived more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perceived by migrant workers had directly and indirectly mediated effects on their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and acculturative stress negatively. Therefore, considered their cultural traditions, social support for migrant workers should be provided to increase their life satisfaction and to reduce their acculturative stress.
한국어
본 연구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개인적 특성과 출신 국가별로 문화적응 스트레스, 삶 의 만족도, 사회적 지지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삶 의 만족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중국, 베트남, 스리랑카, 구 러시아권 출신의 외국인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 적 지지, 삶의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매우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중국 출신 외 국인 근로자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4개 하위변인 모두에서 타 국가보다 높은 스트레 스를 받고 있었다. 구 러시아권 외국인 노동자들은 문화충격에서 높은 스트레스를 받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응 스트레스에서 중국과 베트남 출신 근로자들은 공 통적으로 한국어 수준에 따라, 중국과 구 러시아권 출신 근로자들은 학력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스리랑카 근로자의 경우는 인구학적 변인에서 유의미한 결 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타 집단보다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외국인 근로자의 친구나 주변인의 사회적 지지는 이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줄이고 삶의 만족도는 높이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고,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직접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이에, 국가별 외국인 근로자의 특성을 반영한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여, 이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줄이고 삶의 만족도는 높이는 정책과 사회적 지원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목차
I. 서론
II. 이론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1. 한국의 외국인 근로자 현황 및 실태
2. 외국인 근로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3. 외국인 근로자의 삶의 만족도
4. 사회적 지지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설문수집 과정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
Ⅳ. 연구 결과
1. 외국인 근로자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2. 국가별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삶의 만족도 차이분석 결과
3. 상관분석 결과
4. 측정모형 검증 결과
5. 구조모형 검증
6. 매개효과 검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