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Gender Equality Education and Intersectionality in Textbooks for the 1st and 2nd Grade Students of National Elementary Curriculum of S. Korea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in textbook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gender equality. This study supplemented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by focusing on the aspects of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that are reconstructed when gender, disability, race and ethnicity intersect in textbooks with consideration of intersectionality. The research uses a content analysis method. 16 volumes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for the 1st and 2nd grade student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elementary curriculum of S. Kore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gender imbalance was somewhat found in the characters in the illustrations and photos. Due to the gender imbalance of some units, the number of student appearances was high for males, and the occupational distribution tended to be somewhat biased by gender. Among the characters in historical and literary works, men appeared in a higher proportion and played various roles. Gender appearance stereotypes and gender role stereotypes were found. The participation of male and female students in learning activities was generally equitable, with the exception of a few units. Second, the textbooks focused on ‘Korean ethnicity, non-disabled people, and normal families’, and gender stereotypes were projected on female and male. Gender, race and ethnicity, and disability not included in this standard were rendered invisible and marginalized. Race and ethnicity were mainly expressed by differences colors. The proportion of apricot-colored skin and brown or dark hair, which represented by Korean ethnicity, was high and appeared within the central characters. Non-disabled people appeared throughout the textbooks, while the disabled were mostly in wheelchairs, depicted with the appearance of an imagined Korean ethnicity. Thir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the need to apply the intersectionality perspective to gender equality education.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policy measures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conclusion and discussion part of this paper, it analysed the revised textbooks that were republished in 2018, and pointed out that although these textbooks improved after revision, invisibility and marginalization are still detectable. This study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the perspective of intersectionality and attempted to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한국어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성평등 관점에 기초하여 교과서에 드러난 불평등과 차별을 분 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교차성을 고려하여, 교과서에서 젠더, 장애, 인종과 종족성 이 교차할 때 재구성되는 차별과 불평등 양상에 주목함으로써,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보완했다. 연구 방법은 내용분석방법이고, 2017년에 출판된 2015년 개정교육과정 1, 2 학년 1학기 초등교과서 16권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첫째, 삽화·사진 속 등장인물에서 남녀 성비 불균형이 다소 발견됐다. 몇몇 단원의 성비 불균형으로 인해 남학생 등장비 율이 높았고, 직업분포는 성별에 따라 편중되는 경향이 다소 있었다. 역사 및 문학 작 품 속 인물로 남성의 등장비율이 높고 역할도 다양했다. 남녀 외모와 성 역할 고정관념 이 발견됐다. 남학생과 여학생은 몇몇 단원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형평성 있게 학습 활동에 참여했다. 둘째, 교과서는 ‘한민족, 비장애인, 정상가족’에 초점을 두었고, 여성 과 남성의 모습에 성 고정관념이 투영되었다. 여기에 포함되지 않은 성, 인종과 종족성, 장애는 비가시화·주변화되었다. 인종과 종족성은 주로 색상의 차이로 표현되어, 살구 색 피부와 갈색 혹은 검은 머리로 재현된 인물의 비율이 높았고 중심인물로 등장했다. 교과서 전반에 비장애인이 등장하고, 장애인은 주로 휠체어를 탄 모습이었으며 한민족 으로 상상된 외모로 재현됐다. 셋째, 연구의 의의는 성평등 교육에 교차성 관점을 적용 할 필요성을 드러내고, 성평등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정책적 방안을 제언한 것이다. 이 논문은 결론 및 논의에서 2018년에 수정·재출판된 교과서를 개괄적으로 분석하여, 교 과서가 수정 후에 더 좋은 교과서로 발전됐으나 비가시화·주변화가 여전히 발견됨을 지적했다. 이 연구는 교차성 관점의 중요성을 지적하고, 성평등 교육 실현에 기여하고자 했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성평등 교육과 교차성
2. 성평등 관점에 기초한 교과서 분석과 교차성 관련 연구
III. 연구 방법
1. 내용분석과 내용분석지
2. 내용분석대상 교과서
IV. 분석결과
1. 남녀 성비 불균형
2. 성 고정관념
3. 가족 형태와 젠더, 장애, 인종과 종족성의 교차성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