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인 가구 여성의 거주지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자치경찰 시행관련 안전정책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Crime Fear of Single-person Household Women : Focusing on Safety Policies Related to Autonomous Police Enforcement

조제성, 이상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ocus on the increase in demand for strategic safety policie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o present empirical research results for specific policy recommendations. In particular, detailed safety policies by gender and age are required for single-person househol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can be used as a basis for specific policy recommendations by focusing on women among single-person household safety policies. Through the design process of the study, a sample of 805 women in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selected. ANalysis Of VAriance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variables used in the analysis were target hardening, residential environment, degree of voluntary crime prevention participation, sense of community, and trust in the police. Prior to the analysis, age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group differences were exist significantly in target hardening, residential environment, community consciousness, and police trust. Finally,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while controlling for variables such as age and education level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housing safety perception of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As a result, the existing target hardening strategy did not affect the perception of housing safety. Rather,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housing safety were the living environment and the degree of voluntary crime prevention participation. Police trust and sense of community were also not significantly affected. This shows that the existing policies targeting women in single-person households can be more effective in relieving anxiety through resident participation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 than in resolving social isolation or linking with the police and government. It is also a result based on the need to expand the environmental design strategy for the safety of residential area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on the municipal police's housing safety-related policie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한국어

이 연구는 1인 가구에 대한 전략적 안전정책의 수요 증가에 주목하고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의 2018년 범죄피해조사 데이터를 통해 구체적인 정책적 제언을 위한 실증적 연구결과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1인 가구에 대해 성별, 연령별 세부적인 안전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1인 가구 안전정책 중에서 여성에 주목해 구체적인 정책적 제언의 근거로 삼을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하 는 것이 연구 목적이다. 연구의 설계과정을 통해 1인 가구 여성 805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됐으 며, ANOVA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에 활용된 변수는 타겟하드닝, 거주지환경, 자율방범 참여정도, 공동체의식, 경찰신뢰로 1인 가구 여성의 거주지 범죄두려움에 어떤 변수가 유의미한 영 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도록 했다. 분석에 앞서 연령을 3집단으로 구분해 집단별 차이를 확인한 결과 타겟하드닝, 거주지환경, 공동체의식, 경찰신뢰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최종 1인 가구 여성의 거주지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연령, 교육정도의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기존 시행되고 있는 타겟하드닝 전략은 거 주지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오히려 거주지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거주지 환 경, 자율방범참여정도 변수였다. 경찰신뢰와 공동체의식 역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는 기 존 1인 가구 여성을 대상으로한 정책이 사회적 고립 해소나 경·관과의 연계전략 보다 민·경 연계를 통해 주민참여를 통한 불안감 해소전략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주거지역의 안전을 위 한 환경설계 전략의 확대가 필요함을 근거하는 결과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자치경찰의 1인 가구 여성 주거 안전관련 정책에 대해 제언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제성 Je-Seong, Cho.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 이상훈 Sang-Hun, Lee. 신라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초빙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