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6~17세기 의학서적에 관한 한글자형의 조형미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The Shape of Korean Letters in Medical Texts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정복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is a compilation of materials from medical books published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and after selecting 15 types of materials with excellent typef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ement the basic material for the changing history of Hangeul chirography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layout and letter arrangement of the plate type, the arrangement of lines by line, the brushing of consonants and vowels, the beauty of a single character conclusio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Based on the bibliographic list of 15 medical books (3 books in the 16th century, 9 books in the 17th century, and 3 books in the 17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18th century), the calligraphic elements of the typeface were presented in a table and studied. First, Plate composition and the beauty of line-by-line arrangement. Since the 16th century, the Hangul-Unhaemun has been placed one character lower than the original Chinese text, and the original Chinese text and the Hangul-Unhaemun have been written in a certain line, so the board layout is extremely regular. Although the space between the letters was changed, the lines between the lines were orderly, giving a neat aesthetic feeling. About 90% of Hangeul characters are Jeongjache, and 100% of Chinese fonts are HaeseoChe that matches Hangul. In the case of line-by-line grammar,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central axis based on the outer shape of a single character, it was found that about 90% of the characters in the 16th century, 73% in the 17th century, and 38% in the 18th century were square or wide horizontal letter. From 『Guhwangchwalyo』 published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the characteristic of a rectangle in which the central axis is partially shifted to the right vertical stroke [ㅣ] begins to appear, but most of them show a square shape like Chinese characters. Three kinds of 17th century 『ByukOnSinBangUnHae』 『GuHwangBoYuBang』『UnHaeNapYakJungChiBang』 and 18th century 『ChiJongBiBangBuUnHae』 is a calligraphy style with beauty&elegance and majesty, among these 『UnHaeNapYakJungChiBang』 is an excellent typeface with tight and regular letter spacing. Second, The beauty of brush strokes of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case of consonants, since the 16th century there are changes in 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part that raises the brush and the brush stroke method when the brush is plac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images and consonants. The beginning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trokes is a square brush type, but the ending is a circle brush type, so it has a soft and strong aesthetic sense. The change in the direction of brush began in the mid-17th century in 『ByukOnSinBangUnHae』, where the horizontal strokes were raised to the right rather than the left, and the vertical strokes from ‘’ to ‘ㄱ’ were tilted inward, and it became common thereafter. Since the 18th century, the standardized characteristics of Gung(court) font are few except for the letter ‘ㅅ’. Third, the beauty of a single character conclusion. 512 letters consisting of innitial·middle consonants, initialㆍmiddleㆍfinal consonants, and Byeongseo ‘ㅅ’ used in 15 types of medical boo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symmetry, balance, and transformation principle' of the letters. As for the size of consonants and vowels, the contrast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zes was changed by making the vowels larger. The position of the consonants was balanced by placing them in the center of the vowels. Byeongseo letters balanced the horizontal, vertical, and event of the consonants so that they would look visually the same, but the indirect letters ‘ㅅㆍㅂ’ became largely independent from the 17th century on the left. It became common that the final consonants width of the seven strokes ‘ㄱㄴㄷㄹㅁㅂㅇ’ excluding the ‘ㅅ’ character less than the width of the vowel since the 17th century. For ‘ㄷㆍㄹ’ with two or more horizontal strokes of the the final consonants, By varying the width and length, the blank space is displayed in a variable way.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the manuscripts of medical books were universalized with a new formative system, away from the shape close to the figure in the early days of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and the value of research in that they became the formative source of the GungChe manuscripts and Panbon library formed after the 18th century. The simplified literature of medical books for practical use are stored in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collections.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tudies will be discussed in terms of artistic aspects in addition to practicality by excavating portable editions, local editions, and overseas editions.

한국어

본 논문은 16~17세기에 간행된 의학서적의 자료를 집대성하고, 서체가 우수한 자료 15종을 선정, 이에 대한 판형의 배행 및 배자, 행별 장법, 자음과 모음의 용필, 단일문자의 결구에 관한 조형미를 시기별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글서예변천사의 기초 토대자료를 보완하는데 목적이 있는 연구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먼저 총 15종(16세기 3종, 17세기 9종, 17세기~18세기 초 3종)의 의학서적 에 작성된 서지목록을 토대로 서체의 필법요소를 표로 제시하여 연구하였다. 첫째, 판면 구성 및 행별 장법미. 판면 구성은 16세기부터 한자 원문보다 한글 언해문을 한 글자 내려서 배자 하였고, 한자원문과 한글 언해문을 구별하여 일정한 선 안에 썼기 때문에 판형의 배열이 지극히 규칙적이다. 글자와 글자 사이의 공간은 변화 를 주었으나 행간이 정연하여 단정한 심미감이 느껴진다. 한글 자형은 약 90%가 정자 체이며, 한자 서체는 100% 한글과 어울리는 다양한 서풍의 해서체가 사용되었다. 행 별 장법의 경우, 단일문자의 겉모양을 중심으로 중심축을 파악한 결과, 16세기에는 약 90%, 17세기에는 73%, 18세기에는 38%가 정방형 혹은 가로가 큰 자형인 것으로 밝혀졌다. 17세기 중반에 간행한 『구황촬요』부터 중심축이 우측 세로획〔ㅣ〕으로 일 부 이동되는 장방형의 특징이 나타나기 시작하지만 대부분은 한자와 같이 중심축이 중 앙인 정방형의 형태를 보인다. 17세기의 『벽온신방언해』ㆍ『구황보유방』ㆍ 『언해납약증 치방』등 3종과 18세기 『치종비방부언해』는 각각 미려함과 장엄한을 지닌 서풍이며, 『 언해납약증치방』은 특히 자간이 긴밀ㆍ정연한 우수한 서체이다. 둘째, 자ㆍ모음자의 용필미, 자음자는 16세기부터 가로ㆍ세로획과 자음의 위치 에 따라 붓을 일으키는 부분과 붓을 거두어들일 때의 운필방법과 굵기ㆍ크기의 변화가 있다. 가로ㆍ세로획의 시작부분은 모두 방필형이 많고, 마치는 부분은 원필형이 많다. 운필 방향은 17세기중반 『벽온신방언해』부터 가로획이 왼쪽보다 오른쪽을 올려 생동 감이 있고, ‘’에서 ‘ㄱ’의 세로획을 안쪽으로 기울이는데 이후 보편화된다. 18세기 이 후 정형화된 궁체의 특징은 ‘ㅅ’자 외에는 적게 나타난다. 셋째, 단일문자의 결구미, 의학서적 15종에 사용된 초·중성 합자, 초ㆍ중ㆍ종성 합자, ‘ㅂ·ㅅ’ 병서자 512글자를 선정하여 문자의 ‘균제ㆍ균형ㆍ변형원리’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자음자와 모음자의 크기는 모음자를 크게 하여 좌우 크기 대비를 변화 있 게 나타냈고, 자음자의 위치는 모음자의 중앙에 위치시켜 균형을 이루었다. 병서자는 자음자의 가로ㆍ세로ㆍ사획이 만날 때에 공간안배를 시각적으로 동일해 보이도록 균형 을 이루었으나, 간접문자 ‘ㅅㆍㅂ’은 17세기부터 왼쪽을 크게 독립적으로 나타내므로 문자의 실용적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종성자는 ‘ㅅ’자를 제외한 7종〔ㄱㆍㄴㆍㄷㆍㄹ ㆍㅁㆍㅂㆍㅇ〕의 획이 17세기부터 모음의 폭보다 작아진 것이 일반화되었다. 종성 가 로획이 2개 이상인 ‘ㄷㆍㄹ’등은 가로폭의 길이를 각각 다르게 하여 공간변화를 주었다. 이상 16~17세기 의학서적의 간본문헌은 훈민정음 창제 초기의 도형에 가까운 자형에서 벗어나 새로운 조형체계를 갖추어 보편화 되었고, 18세기 이후 형성된 궁체 필사본과 판본문헌의 조형적 근원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다. 실용에 의한 의학서적의 간본문헌은 국내외에 다양하게 소장되어 있다. 앞으로 수진본이나 지 방판, 해외본 등을 발굴하여 실용성 외에 예술적 측면에서 다양한 연구가 논의되길 기 대한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대상 자료의 선정 및 서지사항
1. 연구 대상 자료의 선정 및 목록
2. 연구 대상 자료의 서지사항
Ⅲ. 16~17세기 의학서적(醫學書籍)의 한글 자형의 조형미 특징
1. 판면 구성 형식 및 행별 장법미
2. 자ㆍ모음자의 용필미
3. 단일문자의 결구미
Ⅳ. 결론
1. 연구 요약
2.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복동 Jeong, Bok Dong.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