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후기 전주에 대한 풍패 인식과 조경묘 창건

원문정보

The Recognition of Jeonju as the hometown of the Joseon royal family and the construction of Jogyeongmyo in the Late Joseon

이동희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제63호 2021.11 pp.151-17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eonju is the hometown of the Joseon royal family, where the ancestors of King Taejo Lee Seonggye lived. It is for this reason that Jeonju is called ‘pungpae.’ Pungpae refers to the hometown of the founder. This paper examines the perception of Jeonju of the Joseon dynasty as pungpae, and the meaning of the construction of Jogyeongmyo, the ancestral shrine of the royal family,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two places that were thought to be pungpae areas. Namely, Jeonju, where Taejo's ancestors lived, and Yeongheung and Hamheung area, where Taejo was born and lived. In the early dynasty, the perception of Jeonju as pungpae was not as strong as that of Yeongheung and Hamhung area. The government's perception of Jeonju as pungpae was strengthened in the late dynasty as a clan-oriented trend arose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The construction of Jogyeongmyo in 1771 is a representative example that shows that the perception of Jeonju as pungpae had been strengthened. Jogyeongmyo was built in 1771(the 47th year of King Yeongjo) as the first ancestral shrine of the Joseon royal family to the north of Gyeonggijeon in Jeonju. The establishment of Jogyeongmyo was to re-establish the royal family with the founder of the dynasty as the apex in a clan-oriented society. King Yeongjo tried to reorganize the political system, and to achieve the revival of Joseon by enhancing the dignity of the royal family. Especially, with the founding of Jogyeongmyo, Jeonju, where the founder Lee Han lived, was upgraded to the actual hometown where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began. Thus, Jeonju was firmly established as the source of the Joseon royal family. The construction of such a landscape mausoleum was related to the great framework of his state administration. Yeongjo tried to move the center of the royal family's origin from the northeast of Yeongheung and Hamheung area to Jeonju. This is the meaning of the construction of Jogyeongmyo.

한국어

전주는 태조 이성계의 선조들이 살았던 조선왕실의 풍패지향(豐沛之鄕)이 다. 풍패란 건국자의 고향을 말한다. 본고는 조선왕조의 전주에 대한 풍패 인 식과, 영조대 왕실의 시조 사당 조경묘(肇慶廟) 창건의 의미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조선의 풍패는 태조의 선조들이 살았던 전주와, 태조가 태어나고 살았던 영흥ㆍ함흥 일원 두 곳이다. 넓게는 전주가 속한 전라도, 영흥ㆍ함흥이 편제 된 함길도가 풍패로 인지되었다. 조선 건국후 전주에 대한 풍패 인식은 영흥과 함흥 일원에 비해 강하지 않 았다. 전주에 대한 조정의 풍패 인식은 임진왜란을 거치고, 가문중시 풍조가 일면서 조선후기에 강화되었다. 영조대 조경묘 창건은 이를 상징하는 일이다. 조경묘는 조선왕실 최초의 시조 사당으로 영조 47년(1771) 전주 경기전 북 편에 창건되었다. 조경묘 창건은 시조 중심의 가문 중시 사회를 맞아서 시조 를 정점으로 왕실가를 재확립한 것이다. 영조는 정치체제를 정비 개편하는 한편 왕실의 위엄을 높여 조선의 중흥을 이루려고 하였다. 조경묘를 창건하고 조선의 창업을 수덕(樹德)의 역사로 보게 됨에 따라 시 조 이한이 살았던 전주는 조선왕실의 아득히 먼 고향이 아니라 창업이 시작 된 실제적 고향으로 격상되었다. 조경묘 창건으로 전주는 조선왕실 근원지지 (根源之地)로 확고히 자리하게 된 것이다. 결국, 영조는 시조를 정점으로 왕실을 재확립하고, 왕실 근원의 중심을 영 흥ㆍ함흥 일원의 동북면에서 전주로 옮겨오려 한 것으로 보인다. 조경묘 창 건의 의미는 여기에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전주에 대한 풍패 인식 강화
Ⅲ. 영조대 조경묘 창건의 의미
Ⅳ. 맺음말
<국문초록>

<참고 문헌>

저자정보

  • 이동희 Lee, Dong-Hee. 예원예술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