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Icon of Haman Cho's Family’s Settlement during the 16th ~ 18th Century - Bonghwangdae․Bonghwangjeong in Namwon City -
초록
영어
Located in Jukgok(竹谷) Village, Daegok-ri(大谷里), Daesan-myeon(大山面), Namwon City(南原市), Bonghwangdae(鳳凰臺) attracted public attention as a time-honoured natural correlative especially for the legend of Crying Rock (鳴 巖). From the late Goryeo(麗末) until before the 19th century, Bonghwangdae emerged as a magical place in Jukgok-dong(竹谷洞) for the mysterious power of the legend of crying rock to foresee the future. Meanwhile, Bonghwangdae and crying rock entered upon a new phase of being connected with a certain family by Yuljeong(栗亭) Cho Jong-rye(趙從禮) and his descendants belonging to Haman Cho's Family(咸安趙氏) who moved from Hamyang(咸陽), Gyeongsangu-do(慶尙右道) to Jukgok-dong. In other words, crying rock changed into an icon that represents successful settlement of Jehakgong clan(提學公派) by foreknowing Cho Jong-rye and his descendants’ passing the literary examination and classics and literary licentiate consecutively through its crying sound. In addition, number of rhyme-borrowing poems(次韻詩) responded to the
한국어
남원시 대산면 죽곡마을에 소재한 봉황대는 유서 깊은 천혜의 자연적 상관물로, 특히 울음바위[鳴巖] 전설로 인하여 고려 말엽부터 세인의 이목을 끌었다. 조선시 대 때 대곡방에 소속되었던 봉황대에 새겨진 암각화는 이 일대가 민초들이 생업을 유지하기에 매우 적합한 터전임을 시사해 준다. 차후 고려말에서 19세기 이전 시 기에 이르기까지 봉황대는 이곳의 명암 전설이 발휘한 신비로운 예지력으로 인해 죽곡동의 영험한 명소로 부상하게 된다. 그러던 차에 경상우도의 함양에서 죽곡동으로 이주한 함안조씨 제학공파의 파 조인 율정 조종례와 그 후손들에 의해서, 봉황대와 명암은 특정한 문중과 결속되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즉, 조종례를 위시한 이 일문의 문과·생원·진사시 합격 사실을 명암이 연속적으로 묵시해 보임으로써, 제학공파 일문의 성공적인 정착 을 상징해 주는 아이콘으로 변신하게 되었던 것이다. 게다가 신재 조림이 창작한 <명암운>에 하서 김인후가 차운시로 화답한 이래로, 후손들이 지은 일련의 차운시 들은 이 문중의 대외적 영향력을 제고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정자를 창건한 주체를 둘러싼 의론 또한 이러한 맥락과 무관하지 않다. 그러나 19세기 이후로 제학공파 후손들의 관직 진출이 뜸해지면서, 봉황대는 새 로운 국면으로 이행하게 된다. 또한 그간 여러 차례에 걸쳐서 중건·중수되었던 봉황정이 관심의 초점으로 부상하게 된 것도 봉황대 전설의 퇴각이라는 추이와 궤를 나란히 하고 있었다. 1970년도에 이르러 봉황정을 모태로 하여 결성된 계모임과 이 조직의 주도적인 노력에 힘입어 발간된 『봉황대시집』은, 바야흐로 봉황정이 탈문중화라는 시대적 흐름에 맞춰서 주민 공동의 문화적 공간으로 탈태하였음을 알 려주는 의미 있는 신호였다.
목차
1. 머리말
2. 율정(栗亭) 조종례(趙從禮)의 남원 이주
3. 제학공파(提學公派)의 정주(定住) 아이콘화
4. 봉황정 중건과 탈문중화 국면
5.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