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 획

후백제 고고학의 연구현황과 과제

원문정보

Research Status and Subjects of Later Baekje Archaeological

차인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ost-baekje was a state that had survived for at least 37 years at a time when it was implementing as it was considered in the words of the reunification god. Various material cultures related to the national facilities - dosung, acid, royal tombs, and religion - would have been formed, but the reality is not yet clear. Recently, with the accumulation of the investigative results of the remains of the post-baekje, discussions related to the post-baekje began to take place. In this article, we will introduce the remains mentioned as related to fubaekje in separated provinces, acids, production sites, temples, and building sites. Next, we looked at the main issues of postbaekje archaeology: Jeonju Donggosan, Gwangyang Marosanseong, Longevity Sedimentation, Hapmisanseong, Jin'an Dotongli CeladonYoji, and Jeonju Castle. One of the most pressing challenges in post-baekje archaeology is the absence of superficial materials that reveal the orthodoxy of the post-baekje, which looked at the relics unique to the anti-baekje for tile, the relics of the former ruling class. As a result, tiles such as “全州城”, “王,” and “國” were produced after the mid-9th century, and were judged to be superficial relics of the post-baekje, adding to the meaning of the conflicting pattern and words. It was concluded that the early namal women's tile of the Wanju Bonglim Temple, which is called the Fubaekje Royal Non-Reflection, is also associated with the backback agent. Finally, we put together the superficial artifacts of the post-baekje and estimated the central area of Fubaekje near Jeonju and looked at its functions.

한국어

후백제는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시대로 이행하는 시기에 최소 37년 이상 존속했 던 국가였다. 국가적 시설인 도성, 산성, 왕릉, 종교와 관련된 다양한 물질문화가 형성되었을 것인데, 아직 그 실체는 명확하지 않다. 최근 후백제의 유적으로 비정 되는 유적에 대한 조사성과가 축적되면서, 후백제와 관련된 논의가 이루어지기 시 작하였다. 이 글에서는 후백제와 관련된 것으로 언급되는 유적을 도성, 산성, 생산유적, 사찰, 건물지 등으로 구분하여 소개한다. 다음으로 후백제 고고학의 주요 쟁점인 전 주 동고산성, 광양 마로산성, 장수 침령산성, 합미산성, 진안 도통리 청자요지, ‘전주성(全州城)’ 명 기와 등을 살펴보았다. 후백제 고고학에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 중 하나는 후백제의 정통성을 드러내는 표상적 물질이 부재하다는 점인데, 과거 지배층의 전유물인 기와를 대상 으로 후백제 고유의 유물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全州城’, ‘王’, ‘國’ 등의 기와는 9세기 중반 이후에 제작되었는데, 공반된 문양과 단어가 지닌 의미를 더하여 후백제의 표상적 유물로 판단하였다. 후백제 왕실 비보사찰로 비정되는 완주 봉림사지 의 나말여초기 기와 역시 후백제와 관련이 높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후백제의 표상적 유물을 종합하여 전주 인근에서 후백제의 중심권역을 추정해보고 그 기능을 살펴보았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후백제 관련 유적 검토
3. 유적 해석의 상반된 시각
4. 후백제 고고학의 과제
5.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차인국 Cha, In-guk. (재)조선문화유산연구원 조사1팀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