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충주 용산사(龍山寺)와 의림사(義林寺), 그리고 충주철불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ungju Yongsansa Temple(龍山寺) & Uirimsa Temple(義林寺), and Chungju Cheolbul(忠州鐵佛)

김희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ungju(忠州) has been a historically important city. In the center of Chungju, there was a town castle. And it was a double-structured fortress city surrounding the center of the city. Recently, excavations, literature, and data have been supplemented, giving a new turning point to the approach to Chungju.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ere were at least two temples inside Chungju's outer fortress. These are Yongsansa Temple(龍山寺) and Uirimsa Temple(義林寺). Yongsansa Temple supported the existence of a tile engraved with the name of the temple during a detailed excavation survey of Hoam-dong(虎巖 洞) residential district. In September 1392, Yongsansa Temple appeared in the poem of Seong Seok-rin(成石璘), who stayed in Chungju. In modern times, along with an article on the Yongsan-ri(龍山里) Historic Preservation Site in 1927, the location of Yongsansa Temple was estimated in connec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Chungju College of Education(忠州師 範學校), which was decided in 1947. Chungju Cheolbul(忠州鐵佛) is a relic directly related to Yongsansa Temple. Chungju Cheolbul, originally located at 130 Yongsan-ri(龍山里), Chungjugun( 忠州郡), is just called Chungju Cheolbul without belonging because the existence or name of the temple that existed has not been confirmed. The original location where Chungju Cheolbul was located is a part of the space where Yongsan Temple was located. This applies to the entire back of Chungju Technical High School(忠州工業高等學校). Therefore, it raises questions about the conventional wisdom that Chungju Cheolbul existed at Uirimsa Temple Site in Anrim-dong(安林洞). Chungju Cheolbul was moved to the front yard of Cheongnyeongheon(淸 寧軒) in 1915. At this time, a seat was prepared. The pedestal is said to have been taken from Eorim-ri(御林里), Anrim-dong in 1869, and was called Ilyeongseok(日影石). It served as a kind of sundial. That's why the temple site in Anrim-dong was also called "Ilyeongsa Temple Site(日影寺 址). Ilyeongseok is the body stone of the stone pagoda. There is a temple site in Eorim-ri, Anrim-dong. It was called Ilyeongsa Temple Site or Anrim-dong Temple Site(安林洞寺址). When the Bronze Banja(靑銅飯子) was recovered in 1989, it was confirmed that the temple was named Uirimsa Temple. It is also a place with various names and legends such as the site of the palace or Igungji. The combination of Chungju Iron Buddha and Ilyeongseok in 1915 can be seen as the first meeting between Yongsansa Temple and Uirimsa Temple in downtown Chungju. During the Goryeo Dynasty, when Buddhism was the state religion, the existence of two downtown temples has grea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Chungju. The relationship between Chungju-eupseong Fortress(忠州邑城) and Oeseong Fortress(忠州外城), Yongsansa Temple and Uirimsa Temple, and Chungju Cheolbul is a task to be solved as well as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Chungju. Individual research on each subject is also important, and it is also necessary to have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entire city. This article is therefore of a contemporary opinion with more future tasks.

한국어

충주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도시였다. 충주의 중심에는 읍성이 있었다. 그리 고 외성이 도시의 중심을 감싸는 이중구조의 성곽도시였다. 최근에 발굴조사 와 문헌, 자료 등이 보완되면서 충주에 대한 접근 방법에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조사 결과, 충주의 외성 안쪽에 최소한 두 개의 절이 있었다. 용산사(龍山 寺)와 의림사(義林寺)가 그것이다. 용산사는 호암동 택지지구 정밀발굴조사 과정에서 절 이름을 새긴 기와 한 장이 출토되면서 존재 사실을 뒷받침하여 주었다. 그리고 1392년 9월에 충주에 머물던 성석린(成石璘)의 시에서 용산사가 등장한다. 근세에 와서 1927년의 용산리 사적보존지 기사와 함께 1947년에 설립이 결정된 충주사범 학교 신설과 관련하여 용산사의 위치를 추정해 보았다. 용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유물이 충주철불(忠州鐵佛)이다. 본래 충 주군 용산리 130번지에 있었던 충주철불은 절의 존재나 존재했던 절의 이름 이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소속이 없이 그냥 ‘충주철불’로 불린다. 충주철불이 있던 원위치가 곧 용산사가 있던 공간의 한 부분이다. 지금의 충주공업고등학교 뒤편 전체가 해당된다. 그래서 기존에 안림동의 의림사지에 충주철불이 있었다는 통설에 의문을 제기한다. 충주철불은 1915년에 청녕헌 앞뜰로 옮겼다. 이 때에 좌대가 마련되었다. 그 좌대는 1869년에 안림동 어림리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하며, ‘일영석’이라 는 이름으로 불렸었다. 일종의 해시계 기능을 했었다. 그래서 안림동의 절터 를 ‘일영사지’라고 부르기도 했다. 일영석은 석탑의 몸돌이다. 안림동 어림리에는 절터가 있다. 일영사지 또는 안림동사지라고 불렸었다. 1989년에 청동반자가 수습되면서 절 이름이 ‘의림사’였음이 확인되었다. 대 궐터, 이궁지 등의 여러 가지 이름과 전설이 있는 장소이기도 하다. 1915년에 충주철불과 일영석의 결합은 충주 도심공간에 있었던 용산사와 의림사의 첫 만남으로 볼 수 있다. 불교가 국교였던 고려시대에 도심 사찰 두 개의 존재는 충주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충주읍성과 외성, 용산사와 의림사, 그리고 충주철불로 이어지는 관계는 충주의 역사적 중요성은 물론 풀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각각의 대상에 대 한 개별적인 연구도 중요하고, 도시 전체를 놓고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 글은 그래서 앞으로의 과제가 더 많은 시론적인 성격을 가진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충주철불
Ⅲ. 충주 용산사
Ⅳ. 안림동 의림사
Ⅴ. 도심 사찰이었던 용산사와 의림사의 위상
Ⅵ.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희찬 Kim hee-chan. 예성문화연구회ㆍ충주문화원 회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