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소극장 공간사랑의 공간적 특성과 활용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Gonggan Sarang as a Small Theater

김태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onggan Sarang was a small theater built in a narrow space, but it was an important theater that inherited the achievements of the theaters of the previous era and contributed to developing the aesthetics of the small theater and clearly imprinting the role of the theater in our theatrical world. Unlike large theaters, where the seats and stage were far apart and a large proscenium stage was used to create a dramatic illusion, in a small theater it became difficult to create a dramatic illusion as the distance between the seats and stage got closer. Therefore, based on this change, it was necessary to create a unique aesthetic for the small theater alone. The works performed in Gonggan Sarang had built up the history of small theater performances by providing three-dimensional space utilization, creating a sense of immersion using a sense of unity with the theater audience and providing a new hearing subtlety. In addition, unlike the previous small theaters, which were limited to 'introduction of tradition', Gonggan Sarang showed an active and resistant use of 'the traditional' as well. As explained by a planner Jun-hyeok Kang, the projects of Gonggan Sarang as a small theater were oriented toward the process of “filling in the missing things that our society must have”, which could lead to breaking the existing framework and securing the diversity of art. The creators who could not secure a performance hall in the existing theater system or could not be defined by the existing framework could get an opportunity to perform in Gonggan Sarang, which meant expansion into a new framework.

한국어

공간사랑은 좁은 공간에 마련된 작은 극장이었지만 앞 시대의 극장들이 이룩한 성과들을 이어받아 소극장의 미학을 발전시키고 우리 연극계 안에서 극장의 역할을 뚜렷하게 각인시키는 데 기여한 중요한 극장이다. 객석과 무대의 거리가 멀고 대형 프로시니엄 무대를 이용해 극적 환상을 조장했던 대극장과 달리 소극장은 객석과 무대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극적 환상의 조성이 어려워졌기 때문에 이런 변화들을 바탕으로 소극장만의 미학을 만들어나가야 할 필요가 있었다. 공간사랑에서 공연된 작품들은 입체적인 공간 활용, 관객과의 일체감을 이용한 몰입감의 조성, 새로운 청각적 묘미를 제공하며 소극장 공연의 역사를 쌓아갔다. 아울러 공간사랑은 ‘전통의 소개’에 그쳤던 이전의 소극장과 달리 ‘전통적인 것’의 적극적이면서 저항적인 활용을 보여주기도 했다. 기획자 강준혁의 설명처럼 소극장 공간사랑의 기획들은 “우리 사회가 꼭 가져야 하지만 누락된 것을 더 채워 넣는” 과정을 지향하고 있었고, 이는 기존의 틀을 부수고 예술의 다양성 확보해나가는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었다. 기존의 극장 체계에서는 공연장을 확보할 수 없었던, 혹은 기존의 틀로는 규정될 수 없었던 창작자들이 공간사랑에서 공연의 기회를 얻을 수 있었고 그것은 곧 새로운 틀 짜기로의 확장을 의미했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며 대극장에서 소극장으로
2. 가변형 극장과 입체적인 무대 활용
3. 극적 환상을 대체하는 새로운 언어들
4. ‘전통’의 현대적 맥락화
5.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태희 Kim, Taehee. 고려대학교 융합문명연구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