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I 로봇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예비적 고찰

원문정보

A Preliminary Study on the Moral Status of AI Robots

김상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 preliminary consideration of the question of the moral status of AI robots, which aims to ethically criticize the three positions on this without giving a direct answer. To this end, I will first clarify where AI robots are located on the classification of robot ethics and the ethical topography of moral status. This analysis will reveal that the question “Can AI robots be moral agents?” is a key question about their moral status. There are three approaches regarding this question: a hermeneutic approach, an ontological approach, and a relational approach. These approaches imply important truths about the standard of moral status that can be applied to new artificial agents. In other words, these approaches fundamentally deny the moral status of an artificial agent, but for new AI robots with considerable autonomy, we must explore the moral status question with an open mind that they can be a member of the moral community. Because morality can no longer be exclusive to human beings. In particular, we obtain the truth that, under the ontological approach, intrinsic attributes of the object, and under the relational approach, verifiable phenomenal elements, not metaphysical elements, should be at the heart of moral status. It is a task for me to philosophically develop a new approach that meets this requirement.

한국어

이 논문은 AI 로봇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예비적 고찰로서, 직접적인 답변을 제시하지 않고 이에 관한 세 입장을 윤리학적으로 비판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로봇 윤리학의 분류 및 도덕적 지위에 관한 윤리학적 지형도에서 AI 로봇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명확하게 해명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AI 로봇은 도덕 행위자가 될 수 있는가?”의 물음이 로봇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핵심 물음이라는 것을 밝혀줄 것이다. 이 물음에 관한 세 입장은 해석학적 접근법, 존재론적 접근법 그리고 관계론적 접근법이다. 이 세 접근법은 새로운 인공 행위자의 도덕적 지위를 부인하지만, AI 로봇에게 적용될 수 있는 도덕적 지위의 기준에 관해 중요한 진리를 함의하고 있다. 즉, 이러한 접근법들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상당한 자율성’을 지닌 로봇은 도덕 공동체의 구성원이 될 수 있다는 열린 마음을 갖고 우리는 그 도덕적 지위 물음을 탐구해야 한다. 도덕은 이제 더 이상 인간의 전유물일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존재론적 접근법에 따르면 대상이 가진 외래적 속성이 아닌 본래적 속성이, 그리고 관계론적 접근법에 따르면 형이상학적 요소가 아니라 객관화 가능한 현상적 요소가 도덕적 지위의 핵심이 되어야한다는 진리를 우리는 얻는다. 이 요건을 충족시키는 새로운 접근법을 철학적으로 모색하는 일이 필자에게 주어진 앞으로의 과제이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로봇 윤리학의 분류
2. 도덕적 지위의 개념적 지형도
3. 존슨과 밀러의 해석학적 접근법
4. 토랜스의 존재론적 접근법
5. 마크 쿠헬버그의 관계론적 접근법
6. 맺는 말: 새로운 도덕 행위자, AI 로봇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상득 Kim, Sang Deuk. 전북대학교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