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데이터 기반 사회의 과학기술철학

원문정보

Philosoph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Data-driven Society

고인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discusses and proposes the stance that the philosophy of science and technology shall take in the data-driven society. With this purpose in mind, I examine the ontological status of data, upon which the data-driven society will depend in decision making, referring to the protocol-sentence debate in early 20th century. Data are objective in the sense that they are traces of objects, produced by physical interaction. But they need intervention of the subject who initiates creation of data by paying attention to a specific aspect of the object. This line of analysis reveals that there are always aspects of reality that are not subsumed in the data-set available, however it may be comprehensive, and that the data themselves can in principle be falsified in Popper’s sense. We can identify two perspective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at are differentiated by the stances toward the program of naturalization. One is pro-naturalization view that affirms the power and value of naturalization. In this view, philosophy of science and technology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reality while collaborating horizontally with domains of science. The other view acknowledges philosophy as coordinator of the sciences and technologies. In this latter view, philosophy embraces the value issues as central concern and concentrates on meta-inquiry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Although these two views stand upon conflicting concepts of philosophizing, each conceives an indispensable task for realizing the unique values of philosophy. A philosopher cannot go both ways, but the community of the philosophers of science and technology can meet the two-pronged mission through an appropriate division of labor.

한국어

이 논문은 데이터 기반 사회로 진입하는 오늘의 현실에서 과학기술철학이 취할 태도와 진행 방향을 전망하고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빈 학단의 프로토콜 문장 논쟁을 참고하면서 데이터의 존재론적 지위를 검토한다. 데이터는 대상의 물리적 흔적이라는 의미에서 객관적이지만, 대상의 특정 측면에 주목하여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주체의 개입을 필수적으로 요청한다. 이러한 검토에서 아무리 방대하고 충실한 데이터 뭉치에도 포섭되지 않은 실재의 측면이 있다는 것과, 데이터 자체도 포퍼의 의미에서 반증 가능하다는 인식론적 함의를 확인한다. 과학기술철학은 자연화에 대한 태도를 기준으로 두 갈래의 전망을 갖는다. 하나는 자연화의 가치를 적극 긍정하는 노선이고, 다른 하나는 자연화의 한계에 주목하면서 과학기술에 대한 메타적-반성적 탐구에 주력하는 노선이다. 두 노선은 상충하면서도 각각 과학기술철학의 고유한 가치를 실현하는 상보적 속성을 지닌다. 과학기술철학의 전문가 공동체는 지적 분업을 통해 이런 두 갈래의 임무에 부응할 수 있다. 단, 이러한 분업의 실천은 적정 수준 이상의 공동체 규모와 활동성을 필요조건으로 요청한다.

목차

요약문
1. 논의의 주제
2. 과학의 데이터 중심성과 프로토콜 문장 논쟁
3. 데이터의 지위에 대한 재고
4. 데이터 기반 사회에서 과학기술철학의 두 노선
5. 제안, 그리고 덧붙이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고인석 Ko, Insok. 인하대학교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