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기도 과천 출토 청주 한씨 스란치마에 나타난 포도동자문의 기원과 함의

원문정보

Origin and Implications of Grape Boy Pattern Appeared in Long Skirt of Lady from Cheongju Han Clan in Dankook University Museum

이해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long skirt of Lady from Cheongju Han Clan out of the collections in Dankook University SueokJuseon Memorial Museum, which is estimated to be a work during the middle of 16th century, a figure of boy who was sitting beside of cluster of grapes holding the grape stalk appears repeatedly. In this paper, the origin of motif, which the grape and the boy are combined, and its utilization context were examined focusing on grape boy pattern of that skirt and the implications that the such pattern was woven in the formal dress of the women during Joseon Dynasty were drawn. In Chapter II, that the motif of grape boy originated in Rome became popular in Gandhara through the early Christian art was examined. Since grape boy was carved as Dionysus, the god of grape and wine, and Eros mainly on the sarcophagus it was used as a design that desires the abundance in afterlife under the funeral context in the Christian art and Gandhara art.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historical fact that it was utilized as a decoration for funeral art is the cause that it could be popular over the regions, religions and ages. That is, although it was originated in the Roman art based on the Greek and Roman myths, since it was the symbol of wealth, it was viewed that it could be introduced to ancient China and Korea having the universal religiosity. In Chapter III, the characteristic of grape boy pattern of Lady from Cheongju Han Clan were analyzed and it was pointed out that grape boy pattern of this skirt woven in clothing, which is the most oldest out of the textiles that the grape boy pattern was expressed out of the relics remained currently is highly likely the model of this pattern. In Chapter IV, based on the contents examined preciously, it was examined associating with the funeral context in the perspective that grape boy pattern of Lady frrom Cheongju Han Clan is the excavated clothing and the implications were drawn viewing in the perspective of foreign exchange and the exchange between genres.

한국어

16C 중반 작으로 추정되는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경기도 과천 출토 청주 한씨 스란치마에는 포도송이 옆에 포도와 비슷한 크기의 동자가 포도 줄기를 잡고 앉아 있는 모습이 반복적으로 장식되었다. 이 글에서는 이 치마의 포도동자무늬에 주목해,포도와 동자가 결합한 모티프의 기원과 그것의 사용 맥락을 확인하고 이러한 무늬가 조선사대부가 여인의 예복에 직조된 함의를 도출했다. Ⅱ장에서는 그리스·로마 신화와 종교를 바탕으로 시작된 로마미술의 포도동자 모티프가 초기 기독교 미술에 채용되고, 나아가간다라지방의 불교미술에서 유행한 대략적인 모습과 중국 및 고려의 그릇에 적용된 사례를검토했다. 포도동자는 로마미술에서 주로 석관에 포도·포도주의 신 디오니소스와 에로스로 조각된 이래 기독교 및 간다라 불교미술에서 장례와 관련된 정황에서 사후세계의 풍요를 희구하는 장례의장으로 사용되었고, 한국에서는 생활용품인 고려청자에도 널리 장식되었음을 확인했다. 그리스·로마의 신화·종교에 근거한 로마미술에서 기원했음에도, 이모티프가 특정 종교의 고유 도상이나 장례 의장으로 고정되지 않고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었던 원인을 풍요를 희구하는 인간의 보편적인 염원이 투영된 상징이라는 점에서 찾았다. Ⅲ장에서는 청주 한씨 치마 포도동자문의 특징을 분석했다. 이 치마의 포도동자는 현전하는 유물 중 포도동자문이 표현된 직물 가운데 조성 시기가 가장 앞선 것으로, 복식에 직조된 이 무늬에 관한 한 일종의 典型일 개연성이 높음을 지적했다. Ⅳ장에서는 앞서 살펴본내용을 바탕으로 청주 한씨 치마가 여인의 의복이며 포도동자문은 상류층의 취향이 반영된모티프라는 관점과 교류의 관점에서 조망해 그 함의를 도출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포도동자문의 기원과 성격 및 東漸
Ⅲ. 청주 한씨 스란치마 포도동자문의 특징
Ⅳ. 청주 한씨 스란치마 포도동자문의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해주 Haiju Lee.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 박물관 연구전담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