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朝鮮 15세기 ‘地理志’에 기재된 道 分定 磁器의 성격

원문정보

Characteristics of porcelain based on province as written in Joseon fifteenth-century geography books

조선 15세기 ‘지리지’에 기재된 도 분정 자기의 성격

권혁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wanchan geography books (geography books written or commissioned by the state) of the fifteenth century show differences in the table of contents and products depending on the period of compilation. Porcelain is no exception, and it is listed together with other products among the local product items (for tributes) of each county, among the items for missed tributes of each province, or at the end of an item for each county. Porcelain is listed in terms of the location where it is produced, as in the cases of weirs, salt pans, and iron foundries. The changing trend of such a system is in line with the tribute system, which was continuously improved since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reason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porcelain were organized differently in each geography book, and, based on this, the meaning of “porcelain” among the items for missed tributes in each province in The Veritable Records of King Sejong was reviewed. Changes in the product item where porcelain is listed are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orcelain given as a tribut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changes in the production and demand for porcelain, which was given as a tribute in each county, were reflected in geography books. In addition to the descriptive rule of “produced in each village,” the writers of The Veritable Records followed the principle of “allocation by provinc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locality of the products when listing the products among the missed tribute items for each province. In particular, the contents of the missed tribute items of each province show that Pyeongan and Hamgil provinces were not assigned porcelain dedicated to the king, while Gyeonggi, Chungcheong, Hwanghae, Gangwon, Jeolla, and Gyeongsang provinces were. Identifying this was the main achievement of this paper. W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examples of white porcelain dedicated to the king as suggested by previous studies, with questions about the dubious interpretation of “white porcelain as a gift and Buncheong porcelain (bluish-green stoneware) as a tribute,” which has been consistently remarked upon in previous studies. We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white porcelain dedicated to the king mentioned by previous studies were included within the limited scope of porcelain used by the king and other members of the royal family, and did no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rcelain dedicated to the king assigned to each province as identified in this paper. Therefore, for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porcelain dedicated to the king assigned to each province later, the vague interpretation of “white porcelain as a gift and Buncheong porcelain as a tribute,” which has been consistently noted so far, needs to be reexamined. In this process, it is necessary to approach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ceived gift and as an offering under the tribute system, rather than the dualistic view of dedication to the king and the tribute system.

한국어

15세기 국가주도로 편찬된 관찬지리지는 편찬 시기에 따라 산물들이 편제된 항목과 내용이 차이가 있다. 磁器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어서 각 군현의 토산(토산공물)항, 혹은 각 도의 궐공항에 다른 산물과 함께 기재되어 있거나, 각 군현 항목 말미에 魚梁·鹽 場·鐵場 등의 예와 같이 생산처인 磁器所로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재방식의 추이는 조선 개국 후 지속적으로 정비되었던 공납제와 그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지리지마다 자기와 관련한 내용이 다르게 편제된 이유, 그리고 이를 기초로 『세종실록』 지리지의 각 도의 궐공항에 있는 ‘자기’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검토해보았다. 자기가 기재된 산물항의 변동은 공납으로 수취되었던 자기의 성격과 그 흐름을 같이하고있다. 그 원인은 각 군현에서 공납으로 납부되었던 자기의 생산과 수요의 변화가 지리지에반영되었기 때문이다. 『세종실록』 지리지의 수찬자들은 각 도의 궐공항에 산물을 기재함에있어 ‘每邑所産’의 서술규식 이외에 산물의 특성과 지역성 등을 고려하여 ‘道단위의 分定’ 을 원칙으로 하였다. 특히 각 도 궐공항에 기재된 내용을 바탕으로 평안도와 함길도는 진상자기가 분정되지 않았던 반면, 경기도와 충청도, 황해도와 강원도, 전라도와 경상도는진상자기가 분정되어 있었다. 이를 규명한 것은 이 논문의 주요 성과라 하겠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기존 연구에서 한결같이 주목해왔던 ‘進上用 白磁와 貢納用 粉靑 沙器’라는 이원적 해석에 의문을 가지고, 선행연구자들이 제시한 진상백자에 대한 성격과실례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선행연구자들이 언급한 진상백자의 성격은 국왕을 비롯한왕실구성원이 사용한 자기라는 한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본 글에서 규명한 각道에 분정된 진상자기의 성격과는 부합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추후 각 道단위로 분정된 진상자기의 실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일관되게 주목되었던 ‘進上用 白磁와 貢納用 粉靑沙器’라는 이원적 해석은 재고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살펴보기 위한 과정에서 진상과 공납제를 이원화하는 시각보다는, 공납제 아래에서 수취된 진상과 공물이라는 시각으로 접근하고자 하여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15세기 地理志의 서술규식과 産物項의 磁器
Ⅲ. 『世宗實錄』 地理志 道 分定 ‘磁器’의 성격
Ⅳ. 맺음말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혁주 Kwon, Hyeok-joo. (재)민족문화유산연구원 원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