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재이관의 성립과 변용

원문정보

The Establishment and Transformation of China's Disaster Perspective

이석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disasters in the pre-Qin period were formed by floods and fires that occurred in nature. It can be seen from Confucius' "Spring and Autumn" that the nature of the disaster is a warning to the political behavior of the actual monarch. The Confucianism of Confucianism originated from Confucius and was established as a view of catastrophe. It has a strong sense of heaven and man and the theory of heaven and return. Dong Zhongshu's statement is a political theory that has changed the the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en and man. During the Emperor Wu era, Dong Zhongshu began to seriously systematize and theorize the theory of reincarnation. Through this theory, he believed that he could control the emperor by allowing the emperor’s every move to be disturbed by the ‘heaven’. Ban Gu, who inherited the historical records of heaven and man, tried to link many historical events with the history of heaven and man through the compilation of "The Five Elements." In addition, the compilation of the Five Elements includes not only natural phenomena, but also peculiar idols. In this way, the narrative that emphasizes the connection between Tian's absolute personality and political action is in sharp contrast to Long Er's attitude of distrusting Tian's absolute humanity. The person who comprehensively criticized the theory of catastrophe and alienation was Liu Zhiji (661-721), the author of Shi Tonglu in the Tang Dynasty. In particular, he criticized the catastrophes and political events in "Hanshu" "The Five Elements", criticizing it as far-fetched. Ouyang Xiu compiled the "New Tang Book", and also criticized the theory that heaven and man induced disasters. Ouyang Xiu didn't talk about disasters, and tried to rul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en and earth and personnel. Even when writing the story of heaven, he wrote the incident carefully. With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of natural phenomena such as solar eclipses and lunar eclipses in the Confucian era, there has been a negative understanding of Xuantian-human induction theory. At that time, Ouyang Xiu, Lima Guang, Wan Anshi and other figures always used scientific methods to understand astronomical phenomena. Xue Ji declared that "The Five Elements of Hanshu" was a history of witchcraft, and severely criticized heaven and man as enemies. Neo-Confucian scholars are also critical of the theory of celestial insensitivity. They think that reason is the rule of all things, but they always regard it as an existence without personality. They criticized Dong Zhongshu's theory of heaven as metaphysics, and tried to replace the contradictory explanations of nature, yin and yang, five elements, and induction with the principled moral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man. They do not think that heaven is a reactionary response to all human actions. Of course, Neo-Confucian scholars did not regard catastrophe as a purely natural phenomenon that has nothing to do with human beings, but associating it with the moral precepts of the Master.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re-transfer, it is regarded as based on principles rather than providence, and still maintains the political and ethical meaning of catastrophe.

한국어

선진시기 ‘災’는 자연에서 발생한 홍수와 화재에서 의미가 형성되었다. 공자의 춘추에서도 보이듯, 자연에서의 재해는 현실적 군주의 정치행위에 대한 경고의 의미였다. 공자에 의해 비롯된 유교적 재이관은 동중서의 천인감응론과 천견론적인 성격을 강하게 지니는 재이관으로 정립되었다. 동중서의 이러한 주장은 天人關係論을 정치적으로 변화시킨 일종의 정치학설이며, 황제 권력을 정당화시키는 동시에 황제 권력 행사에 대한 견제이기도 하다. 武帝 때 董仲舒는 재이설을 본격적으로 체계화, 이론화하기 시작했고, 이 이론을 통해 황제의 일거수일투족을 ‘天’에 의해 간섭받게 함으로써 황제를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권민균, 「漢書五行志」를 통해 본 班固의 災異觀」, 『中國史硏究』125, 참조. 천인감응론적 재이관을 계승한 班固는 「五行志」 편찬을 통해 수많은 역사사건과 天變災異를 연결시키려 하였다. 또한 자연 현상만이 아니라 기이한 神異 현상도 오행지 편찬에 포함시켰다. 이렇듯 하늘의 절대적 인격성과 정치행위와의 연계성을 강조한 서술은 사마천이 하늘에 대한 절대적 인격성을 불신하는 태도와는 대조를 이룬다. 천인감응론적 재이관에 본격적인 비판을 제기한 인물은 唐代 『史通』의 저자인 유지기(661~721)이다. 그는 유독 『漢書』「五行志」가 결부시키는 재이와 정치적 사건에 오류가 많고, 견강부회하다고 비판하였다. 『新唐書』를 편찬한 歐陽修도 천인감응적 災異說에 대해 비판하였다. 구양수는 災異를 함부로 논하지 않았고 天災와 人事와의 관계를 배제하려 하였다. 그는 天災를 서술할 때도 事應은 신중하게 저술하였다. 송대에 들어서 일식 월식 등의 자연현상을 과학적으로 인식하게 되면서 동중서의 신비주의적 천인감응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나타났다. 당시 구양수, 사마광, 왕안석, 설계선 등과 같은 인물들은 한결같이 천문현상을 과학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자연재해도 하늘의 뜻으로 볼 수 없으며, 일상적인 자연 현상으로 보려 하였다. 설계선은 한서 오행지를 巫史志라고 하면서 천인감응론적 재이관을 혹독하게 비판하였다. 성리학자들도 천인감응론적 재이관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보인다. 그들은 理가 만물을 주재하는 것으로 간주하였지만 어디까지나 비인격적 존재로 보았다. 그들은 동중서의 천견론을 신비주의라 비판하면서, 천의 인격성이나 음양오행, 감응이라는 모순적 설명 대신 理라고 하는 원리적이고 도덕적인 天人 관계로 대체시키려 하였다. 그들은 하늘이 인간의 모든 행위에 대해 災異로 반응한다고 보지 않았다. 물론 성리학자들도 재이를 인간과 무관한 순수한 자연현상으로 본 것은 아니며, 군주의 도덕적 수양과 연결시킨다. 전통적 재이관과 다른 점은 그것은 하늘의 뜻이 아닌 理에 기초해 있다고 본 것이며, 災異의 정치 윤리적 함의는 여전히 유지되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고대 중국의 재이관
Ⅲ. 당송시기 오행지 비판
Ⅳ. 송대 재이론 비판과 변용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석현 Lee Sukhyun.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