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주택가격 상승 충격의 저출산 심화 기여도 연구

원문정보

An Empirical Study on the Contribution of Housing Price to Low Fertility

박진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stimated the impact of the shock of housing price increase on the total fertility rate and the contribution of each variable to changes in the TFR.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by estimating the contribution rate of each variable to the fertility rate through the Shapley decomposition and the panel VAR's forecast error variance decomposition, which previous studies have not attemp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cline in the TFR in Korea has been strongly influenced by the recent decline in the total fertility rate, and this influence is expected to continue in the future. In the case of housing costs, in the past, housing sales prices had a relatively small contribution to changes in the total fertility rate compared to the jeonse prices, but their influence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long term in the future.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private education expenses other than housing sale price and Jeonse price also acted as a major cause of the decline in the total fertility rate.

한국어

본 연구는 주택가격 상승 충격이 저출산에 미치는 영향과 각 변수들의 합계출산율 변동 기여도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시도하지 않았던 샤플리 분해와 패널 VAR의 예측오차분산분해를 통해 과거 출산율 하락 경험치에 대한 각 변수들의 기여도와 각 변수의 향후 기여도를 추정하여 차별성이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의 하락은 최근 합계출산율 하락 흐름에 강한 영향을 받았으며, 이 영향력은 향후 미래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주거비의 경우는 과거 주택 매매가격은 전세가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합계출산율 변동에 미친 기여도가 작았으나, 향후 미래에는 장기적으로 그 영향력이 커질 것으로 전망되었다. 주택 매매가격, 전 세가격 이외 사교육비 역시 합계출산율 하락에 주요 원인으로 작동하였음을 실증하였고, 높은 사교육비 부담이 장기 적으로도 합계출산율을 낮출 것으로 전망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실증분석 모형 및 데이터
Ⅲ. 실증분석 결과
Ⅳ.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박진백 Jinbaek Park. 정회원,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 부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