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코로나19 예방행동 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건강신념모델(HBM), 미디어/대인정보노출, 부정적 감정, 자기해석성향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Continue COVID-19 Preventive Behavior : Focusing on the Health Belief Model (HBM), Media/inter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Negative Emotions,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장우정, 이선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t a time when COVID-19 infections are continually occur and it will take time for collective immunity to COVID-19 to be realized, it is best for individuals to continue to follow precautions to prevent COVID-19.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perceived susceptibility, severity, benefit, barrier and self-efficacy), this study added negative feelings about COVID-19, media and inter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to the health belief model and tested suggested model.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company using quota sampling by gender, age and residence.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299.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arrier, and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COVID-19 prevention behavior as suggested by the health belief model. Negative emotions toward COVID-19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COVID-19 prevention behavio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media and inter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it was found that only inter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had a significant effect.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the more conversations about COVID-19 with acquaintances and family members, the higher the perceived severity of COVID-19, negative feelings about COVID-19, and the higher the intention to continue preventive action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xp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of COVID-19 directly affects the intention to continue preventive behavior, and indirectly affects the intention to continue preventive behavior through perceived severity and negative emotions.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and negative emotions. Perceived severity and negative emotions influenced the intention to continue COVID-19 prevention behavior, indicating that these two factors mediated between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prevention behavior. This study is theoretically meaningful in that it expanded the health belief model and applied it to a new infectious disease called COVID-19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subsequent research and development on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behavior. In practical terms,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results can help develop and devise campaigns for COVID-19 prevention and als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health communication messages and quarantine policies for the emergence of new infectious diseas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한국어

코로나 19 감염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코로나 19에 대한 집단 면역이 실현되기까 지 시간이 걸리는 현 상황에서 코로나 19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이 예방수칙을 계속해서 잘 지키는 것이 최선책이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부터 안전해질 때까지 코 로나 19 예방행동(마스크 착용, 사회적 거리두기, 개인위생 수칙 지키기 등)을 지속적으 로 행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건강신념모델(지각된 취약성, 심각성, 이익, 장 애, 자기효능감)을 기반으로 하면서 코로나 19에 대한 부정적 감정, 코로나 19에 대한 미디어와 대인 정보노출, 개인적 특성인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요인을 추가하여 확장된 건강신념모델을 제시하였고 모델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데이터는 설문조사기관을 통 해 모집단의 성별, 나이, 거주지 구성비를 바탕으로 할당표집 하였고 총 299명을 연구대 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건강신념모델이 제시한 대로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장 애, 자기효능감은 코로나19 예방행동 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코로나 19에 대한 부정적 감정은 코로나19 예방행동 지속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 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행동에 대한 행위단서로서 미디어 정보노출과 대인 정보 노출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대인 정보노출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 다. 구체적으로, 코로나 19에 대해 지인 및 가족과 대화를 많이 할수록 코로나 19에 대 한 심각성 인식이 높고, 코로나 19에 대해 부정적 감정을 느끼며, 예방행동 지속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 19에 대한 대인정보 노출은 예방행동 지속의 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면서, 지각된 심각성과 부정적 감정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 로도 예방행동 지속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은 지각 된 심각성과 부정적 감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심각성과 부정적 감정은 코로나 19 예방행동을 지속할 의도에 영향을 주어 이 두 요인은 상호의 존적 자기해석과 예방행동 지속의도 사이를 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건강신 념모델을 확장하여 코로나 19라는 신종 감염병에 적용하여 설명력을 검증함으로써 헬스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확장하고 감염병 예방행동에 관한 후속연구 발전을 위한 기반이 되었다는 점에 이론적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실용적으로는 전염성이 강한 감염병에 있어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장애, 자기효능감, 부정적 감정, 대인정보 노출, 그리고 상 호의존적 자기성향이라는 개인적 특성이 감염병 예방행동 지속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향후 감염병에 대한 헬스커뮤니케이션 메시지 개발 및 방역 정책수립에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1. 연구배경
2. 이론적 배경
1) 건강신념모델
2) 부정적 감정
3) 코로나 19에 대한 미디어와 대인 정보 노출
4) 상호의존적 자기해석(interdependent self-construal)
3. 연구 방법
1) 자료수집 및 연구 대상
2) 변인의 측정
4. 연구 결과
1) 측정도구에 대한 확인적 요인 분석
2) 연구모델 검증
5.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우정 Zhang, Yuqing. 경희대학교 미디어학과 석사
  • 이선영 Lee, Sun Young. 경희대학교 미디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