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실증적 논문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사회적 배제 경험이 이용 동기와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자기증진과 상호작용 동기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Effect of Social Exclusion on Instagram Use Engagement : Mediating Effects of Self-promotion and Social Interaction Motivation

노환호, 임혜빈, 이병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cial exclusion refers to the threat that people face due to a break in social relationships. People experience social exclusion, such as ignorance and rejection, from various social interactions in their daily lives. The lack of social needs resulting from social exclusion has many negative consequences. Meanwhile, as people's interaction with social media increases, Instagram is recognized as a platform suitable for interaction and self-expres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what motivations affect people who have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in using Instagram. Specifically, this study sough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promotion and interaction motivation on Instagram use engagement of people who have experienced two types of social exclusion: ignorance and rejection. Results show that ignorance induced motivation for self-promotion whereas rejection induced motivation for interaction, and each of which significantly affected engagement into Instagram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motivation (self-promotion & interac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한국어

사회적 배제란 사회적 관계의 단절로 인해 사람들이 겪는 위협을 의미한다. 사람들은 일상의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거절과 무시와 같은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다. 사회적 배제에 따른 사회적 욕구의 결핍은 많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한편,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사람들의 상호작용이 증가하면서 인스타그램이 상호작용과 자기표현에 적합한 플랫폼으로 높이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사람들이 인스타그 램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 어떤 동기가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 으로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의 두 가지 유형인 무시와 거절을 경험한 사람들의 인스타그램 이용 몰입에 미치는 자기증진과 상호작용 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배제 중 무시는 자기증진 동기를, 거절은 상호작용 동기를 유발하였으며, 해당 동기의 매개를 거쳐 인스타그램 이용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 다. 이어서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논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서론
이론적 배경
1. 사회적 배제와 동기
무시와 자기증진 동기
거절과 상호작용 동기
인스타그램과 사회적 배제
가설 설정
연구
1. 연구 방법
측정 도구
1. 사회적 배제 경험 척도
2. 인스타그램 이용 동기
3. 인스타그램 이용 몰입
분석 결과
1. 측정 도구 기술통계 및 타당도 분석 결과
모형 분석 결과
전체논의
1. 결과 요약 및 의의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노환호 Hwan-Ho Noh.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임혜빈 Hye Bin Rim.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부교수
  • 이병관 Byung-Kwan Lee.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